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rtis Symbiose 노안교정인공수정체 사용 시 4가지 인공수정체 도수 측정 공식의 예측도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Comparison of Prediction Accuracy of Four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 Formulas for Presbyopia-Correcting Intraocular Lens
발행기관
대한검안학회
저자명
김준식(Jun Sik Kim) 김선웅(Sun Woong Kim)
간행물 정보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Vol.24 No.1, 19~26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최근 국내에 도입된 소수성 회절형 다초점 인공수정체(Artis Symbiose Plus®)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 시 네 가지 인공수정체도수계산 공식(Barrett Universal II, SRK/T, Hoffer-QST, Kane)을 사용하여, 각막곡률(K)과 총각막곡률(TK)의 굴절오차 예측 정확도를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Artis Symbiose Plus®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을 동반한 백내장 수술을 받은 26명의 환자(32안)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하였다. 수술 전 생체계측 데이터(안축장, 각막곡률, 전방깊이, 수정체두께 등)는 IOL Master 700®을 사용하여 측정 후Barrett Universal II, SRK/T, Hoffer-QST, Kane 공식에 대해 각각 K와 TK를 적용하여 산출된 목표 굴절값과 수술 후 1개월 및 3개월의 굴절 결과와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평균 오차(ME), 평균 절대오차(MAE), 중앙절대오차(MedAE)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3개월 시점에서 Barrett Universal II와 Kane 공식은 SRK/T 및 Hoffer-QST 공식에 비해 목표굴절값에 더 가까운 굴절오차를 보였으며, Barrett 공식은 목표굴절값보다 원시적인 결과를, SRK/T와 Hoffer-QST 공식은 더 근시적인 결과를 보였다. K와TK 사이에는 굴절 예측 정확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0.50 D 및 ± 1.00 D 이내의 굴절오차를 보인 환자의 비율은 Barrett과Kane에서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Artis Symbiose Plus® 다초점 인공수정체에서 Barrett Universal II와 Kane 공식이 SRK/T에 비해 우수한 예측 정확도를 보였으며, K와 TK 간에는 굴절오차 예측에 차이가 없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ediction accuracy of four intraocular lens (IOL) power calculation formulas; Barrett Universal II, SRK/T, Hoffer-QST, and Kane, using conventional keratometry (K) and total keratometry (TK) in patients who underwent implantation of a four-haptic hydrophobic multifocal IOL (Artis Symbiose Plus®). Methods: We analyzed 26 patients (32 eye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with implantation of the Artis Symbiose Plus®. Preoperative biometric data, including axial length, keratometry, anterior chamber depth, and lens thickness, were measured using IOL Master 700®. Postoperative refractive outcomes were compared with the target refractive errors derived from four formulas with K and TK. The mean error, mean absolute error, and median absolute error were calculated at 1 and 3 months postoperatively.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he formulae and K and TK. Results: At 3 months postoperatively, Barrett Universal II and Kane showed significantly lower refractive errors from the target diopter than SRK/T and Hoffer-QST, with Barrett Universal II showing the most hyperopic shift and SRK/T the most myopic than the target refractive erro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fractive prediction was found between K and TK across all the formulas. The proportion of eyes with refractive errors within ± 0.50 diopter (D) and ± 1.00 D was highest for Barrett Universal II and Kane,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Barrett Universal II and Kane provided superior refractive accuracy compared to SRK/T and Hoffer-QST for Artis Symbiose Plu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 and TK in predicting refractive outcome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준식(Jun Sik Kim),김선웅(Sun Woong Kim). (2025).Artis Symbiose 노안교정인공수정체 사용 시 4가지 인공수정체 도수 측정 공식의 예측도 비교.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24 (1), 19-26

MLA

김준식(Jun Sik Kim),김선웅(Sun Woong Kim). "Artis Symbiose 노안교정인공수정체 사용 시 4가지 인공수정체 도수 측정 공식의 예측도 비교."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24.1(2025): 19-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