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익상편 절제술 후 객관적으로 측정된 광학적 질의 변화
이용수 0
- 영문명
- Objective Evaluation of Changes in Optical Quality after Pterygium Excision
- 발행기관
- 대한검안학회
- 저자명
- 성지윤(Jiyun Seong) 한상범(Sang Beom Han)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Vol.24 No.1, 7~11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익상편 절제술 후 광학적 질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익상편 절제술과 및 자가윤부결막이식술을 받은 환자 14명 14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전 및 수술 1개월 후 교정시력, 각막지형도 및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OQAS) 검사를 시행받았고, 각 측정값의 수술 전후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남자 10명(10안), 여자 4명(4안)의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연령은 61.6세였다. 수술 전 및 수술 1개월 후 교정시력에는 유의한차이가 없었다, 각막지형도로 측정한 각막난시는 수술 1개월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OQAS로 측정한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cut off 값과 Strehl ratio가 수술 후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익상편에 의해 유발된 난시의 정도는 objective scatter index, MTF cut-off value 및 Strehl ratio의 변화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익상편 수술 후 광학적 질이 개선될 수 있으며, 이는 익상편에 의해 광학적 질이 저하됨을 시사한다. 익상편에 의한 난시가심할수록 광학적 질의 저하가 심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changes in optical quality after pterygium excis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4 patients (14 eyes) who had undergone pterygium excision using a limbal conjunctival autograft. All participants underwent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test, corneal topography, and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OQAS) test preoperatively and 1 month postoperatively. The changes in these parameters associated with surgery were analyzed.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10 men (10 eyes) and four women (four eyes), with a mean age of 61.6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CVA preoperatively and 1 month postoperatively. Corneal topography revealed significantly reduced astigmatism and OQAS showed that th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cutoff value and Strehl ratio significantly improved postoperatively. Pterygium-induced astigmatis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bjective scatter index, MTF cutoff value, and Strehl ratio.
Conclusions: Pterygium excision may result in improved optical quality, suggesting that pterygia can decrease optical quality. A greater degree of pterygium-induced astigmatism may be associated with a more severe impairment of optical quality.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안와감압술 시 경계골 후방제거의 효과
- 익상편 절제술 후 객관적으로 측정된 광학적 질의 변화
-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Ocular Chemical Injury in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of Korea
- Artis Symbiose 노안교정인공수정체 사용 시 4가지 인공수정체 도수 측정 공식의 예측도 비교
- 각막굴절교정렌즈와 저농도 아트로핀 안약이 안축장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비교
- 편안의 제2형 과립각막이상증 소견과 반대안의 점과 지도 모양의 비전형적인 표현형으로 시작된 제1형 격자각막이상증 1예
-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염의 재활성화를 보인 면역 저하 환자 4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안와감압술 시 경계골 후방제거의 효과
- 익상편 절제술 후 객관적으로 측정된 광학적 질의 변화
-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Ocular Chemical Injury in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of Kore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