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의 양가적 언술 인지문체 - 그레마스 사각기호 적용

이용수 0

영문명
Cognitive Stylistics with Ambivalent Énoncé in “Until the Peonies Bloom” of Kim Young-rang : Focused on Application of Greimas Semiotic Square
발행기관
한국언어문학회
저자명
소필균(Pil-gyun So)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학』第129輯, 109~13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semantic process of Kim Young-rang’s “Until Peonies Bloom” from a cognitive semiotic perspective. In order to reveal the unique aesthetic structure of the text, which is the canon of modern Korean poetry aestheticism, it is necessary to examine it in a cognitive and semiotic manner. The text’s linguistic cognitive signs reveal cognitive meanings that interact dualistically. The text has more negative linguistic signs than positive linguistic signs. While negative meanings are dominant in the semantic context, the will and tenacity to pursue positive meanings are strengthened. From a cognitive poetics perspective, the concepts of action chain, oxymoron, and figure-ground were used to analyze it from various angles. Texture, a combination of psychological and formal qualities of text, exhibits a unique ambivalent semanticization. The reader's reading sense, which sees through the duality and contradiction of existence, grasps the ambivalent semantic structure of the figure and ground in the process of reading the text. From a semiotics perspective, the cognitive structure of the ambivalent utterance of the text was expressed by applying Greimas’s semiotic square. The semanticization of the semiotic square clearly shows the figure meaning and the stylistic ground meaning of the text as a semantic structure that connects the surface and the depth. This confirms once again that the reader can read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text simultaneously and differently.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양가적 언어 인지기호
3. 텍스처의 양가적 인지구조
4. 양가적 합성의 인지지향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소필균(Pil-gyun So). (2025).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의 양가적 언술 인지문체 - 그레마스 사각기호 적용. 한국언어문학, (), 109-138

MLA

소필균(Pil-gyun So).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의 양가적 언술 인지문체 - 그레마스 사각기호 적용." 한국언어문학, (2025): 109-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