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 리빙랩 수업이해와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전공인식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s of Major Awar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ving Lab Class Understand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발행기관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저자명
하상섭(Sangsup Ha) 김진희(Jinhee Kim)
간행물 정보
『Global Creative Leader』제15권 1호, 91~10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 리빙랩(living labs) 수업이해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전공인식이 매개변인으로 작동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베트남 대학생을 대상으로 표집하였고, 전체 회수된 총 35부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첫째,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왜도와 첨도를 살펴보았다. 둘째, 변인 간의 관계와 회귀식에 투입될 변인들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진단하기 위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리빙랩 수업이해와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전공인식의 매개효과를 동시에 검증하기 위해 Hayes(2022)의 연구에서 제안한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Bootstrapping 샘플을 10,000개로 지정하여 신뢰구간 95.0%로 설정한 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높은 리빙랩수업의 이해가 전공인식을 높이고, 이것이 문제해결능력으로 연결되는 매개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리빙랩수업이 문제해결능력에 부분매개모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whether major awareness acts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understanding of living lab class and problem-solving ability. To this end, Vietnamese university students were sampled, and a total of 35 recovered copies were used for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nd SPSS PROCESS macro 4.0. As an analysis method, first,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onducted, and skewness and kurtosis were examin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he correlation to diagnose the multicollinearity problem of variables to be inputted in the regression equation were analyzed. Third, to simultaneous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 of living lab class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 bootstrapping sample was designated as 10,000 and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4 proposed in Hayes' (2022) study. As a result,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Living Lab class raised major awareness, and the mediating path that leads to problem-solving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Living Lab class supported a partial mediating model for problem-solving ab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상섭(Sangsup Ha),김진희(Jinhee Kim). (2025).대학생 리빙랩 수업이해와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전공인식 매개효과. Global Creative Leader, 15 (1), 91-109

MLA

하상섭(Sangsup Ha),김진희(Jinhee Kim). "대학생 리빙랩 수업이해와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전공인식 매개효과." Global Creative Leader, 15.1(2025): 91-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