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hatGPT 활용 협력학습을 통한 대학생의 메타화용적 인식 증진
이용수 0
- 영문명
- Facilitating metapragmatic awareness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with ChatGPT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안태연(Tae youn Ahn) 민호기(Hoky Min)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23권 4호, 217~23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ChatGPT and media-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o enhance metapragmatic awareness among 30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The students analyzed English expressions from animated programs and English-dubbed Korean dramas, using ChatGPT to compare pragmatic differences and discuss language use appropriate to different contexts. The data included group discussion transcripts, ChatGPT-student interaction logs, and student reflection journals. The results revealed that metapragmatic discussions, facilitated by ChatGPT, improve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textual nuances in English expressions. Collaborative learning encouraged deeper exploration of pragmatic differences and fostered student autonomy in language analysis. Additionally, ChatGPT’s personalized feedback helped students adapt example dialogues to their own language proficiency, making complex pragmatic concepts more accessible. The findings suggest that AI tools like ChatGPT hold potential for enhancing metapragmatic awareness in EFL learners.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epetition and Becoming: A Deleuzian Approach to Underachieving EFL Learners in Korea
- 영어 학습에서의 AI 활용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연구
- 영어교육 위기의 본질과 영어교육계의 정책역량: 수능 영어 절대평가 7년의 명암
- A Study of Form-focused Instruction on L2 Academic Vocabulary Learning
- Reconceptualizing Poetry as a Way to Expressive Pedagogy
- Effectiveness of Korean Elementary EFL Learners’ Writing in English through Dynamic Assessment
- Impact of Onset Age and Native-Speaker Input on L2 Phonological Acquisition in Korean EFL Learners
- Exploring Collaborative Summary Writing Strategies and Interaction Patterns Among Korean EFL College Students
-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서 실제 자료 활용의 글로벌 역량 함양 효과 분석
- 중학교 영어듣기능력평가 대화문 화행 분석
- ChatGPT 활용 협력학습을 통한 대학생의 메타화용적 인식 증진
- 실용영작문 수업에 나타난 쓰기 전략의 사용과 대학생 학습자 인식에 관한 연구
- 전국 중·고등학생 영어듣기능력평가 지문 길이의 타당도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일반 노인의 이야기 회상 수행력: 자극 양식, 연령 집단 및 수행 시점에 따른 차이
- 언어장애 동반 유무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 과제 수행 특성
- 정상압수두증과 파킨슨병 환자의 이야기 정보인출 수행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