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자생 황녹색잎 차나무 유전자원의 생육 및 성분 특성

이용수 0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New Yellow-Green Color Leaf Tea Germplasm
발행기관
한국차학회
저자명
권윤숙(Yun-Suk Kwon) 홍하림(Ha Rim Hong) 김병혁(Byung-Hyuk Kim) 김수진(Su Jin Kim) 권용희(Yong-Hee Kwon) 송은영(Eun-Young Song) 이소진(So Jin Lee) 문두경(Doo-Gyung Moon)
간행물 정보
『한국차학회지』제30권 제3호, 74~83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차나무 품종 다양화 및 유용성분 고함량 자원 선발을 위해 국내 자생 차나무 유전자원을 수집하고 특성 연구를 수행하면서 황녹색잎 차나무 유전자원(Ku1)을 발굴하였기에 해당 자원의 생육특성과 성분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Ku1의 수형은 관목형이고, 첫물차 1아 1-3엽은 황녹색을 띠고 4엽부터는 녹색을 띤다. 9월에 Ku1의 1아 3엽 중 세번째 잎의 엽면적이 평균 30.2 ± 2.95 cm2 으로 중엽류에 해당하였다. 첫물차 1아 3엽의 건엽(dry weight, DW) 중 총아미노산과 테아닌의 함량은 Ku1에서 25.02 ± 0.34 mg/g과 16.06 ± 0.43 mg/g으로 SM 의 각 성분함량의 0.66배와 0.59배 수준이었다. 하지만 Ku1의 총폴리페놀과 총카테킨의 함량은 231.06 ± 3.65 gallic acid equivallent mg/g DW과 147.06 ± 0.73 mg/g DW로 상목의 각 함량보다 약 1.3배 그리고 1.2배 높았다. 특히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와 eipcatechin gallate (ECG)의 함량이 Ku1에서 92.03 ± 0.32 mg/g DW과22.38 ± 0.13 mg/g DW로 상목의 각 성분 함량보다 1.8배와 1.4배 높았다. Ku1의 카페인 함량은 26.19 ± 0.13 mg/g DW로 SM의 카페인함량보다 1.13배 높은 수준이었다. 종합하면, 첫물차 1아 3엽이 황녹색을 띠는 ‘Ku1’은 중엽류으로 녹색잎 차나무 품종인 ‘상목’과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생육특성을 가지며 아미노산의 함량은 상목보다 낮고 총폴리페놀, 총카테킨, EGCG, ECG, catechin, 그리고 카페인 등의 유용성분의 함량이 높은 특징을 가지는 국내 자생 차나무 유전자원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growth trait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yellow-green leaf tea plants germplasm (Ku1), which was discovered in Gurye-gun, Jeollanam-do, Korea. Ku1 exhibited a shrub-like growth form and a medium-leaf variety. The color of its one bud and three leaves at the first harvest time was yellow-green. The chlorophyll content of Ku1 wa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green leaf tea plant cultivar, Sangmok (SM). The total amino acids and theanine contents in one bud and three leaves of Ku1 at the first harvest time were 25.02 ± 0.34 and 16.06 ± 0.43 mg/g DW, respectively, which were 0.66 and 0.59 times lower, respectively in Ku1 compared to SM. However,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catechin contents in Ku1 were 231.1 ± 3.65 and 147.06 ± 0.73 GAE mg/g DW, respectively, which were 1.3 times and 1.2 times higher, respectively in Ku1 than in SM. Notably, the content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epicatechin gallate in Ku1 were 92.03 ± 0.32 and 22.38 ± 0.13 mg/g DW, respectively, and were thus 1.8 times and 1.4 times higher in Ku1 than in SM. In conclusion, the ‘Ku1’ tea plant variety with yellow-green leaves is a tea germplasm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green leaf tea plant cultivar SM and is characterized by lower amino acid content but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otal polyphenols, total catechins, EGCG, ECG, and caffein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yellow-green tea variety ‘Ku1’, which is rich in polyphenols, especially EGCG, could be a valuable tea plant germplasm. This could be useful for diversifying tea types and promoting tea consumption, and plant sources for the food and health functional food industries.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윤숙(Yun-Suk Kwon),홍하림(Ha Rim Hong),김병혁(Byung-Hyuk Kim),김수진(Su Jin Kim),권용희(Yong-Hee Kwon),송은영(Eun-Young Song),이소진(So Jin Lee),문두경(Doo-Gyung Moon). (2024).국내 자생 황녹색잎 차나무 유전자원의 생육 및 성분 특성. 한국차학회지, 30 (3), 74-83

MLA

권윤숙(Yun-Suk Kwon),홍하림(Ha Rim Hong),김병혁(Byung-Hyuk Kim),김수진(Su Jin Kim),권용희(Yong-Hee Kwon),송은영(Eun-Young Song),이소진(So Jin Lee),문두경(Doo-Gyung Moon). "국내 자생 황녹색잎 차나무 유전자원의 생육 및 성분 특성." 한국차학회지, 30.3(2024): 74-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