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몽량록(夢粱錄)』을 통해 본 남송의 차문화
이용수 0
- 영문명
- Tea Culture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Viewed through Menglianglu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김대영(Dae-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30권 제3호, 24~36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몽량록(夢粱錄)』은 오자목(吳自牧)이 임안을 중심으로 남송 시기의 번영에 대해 서술한 20권의 저술이다. 임안의 시설, 지리, 물산, 민간, 풍속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어, 이를 통해 남송 시기의 도시 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데 풍부한 자료를 제공해준다. 본 연구는 『몽량록』을 중심으로 이 책에 수록된 차 관련 기사의 분석을 통해 남송 시기 차문화를 고찰해보고자 했다. 남송 시기 상공업과 도시의 발달은 대중 문화의 발달과 다양화를 가져왔다. 대중의 문화 소비의 수준이 상향되면서 차의 소비도 그 대상과 빈도가 확대되었으며, 이것이 차문화의일상화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여러 계층의 차소비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차상업 활동이 생겨났으며, 그 중심이 되는 것이 차사(茶肆)였다. 차사에서는 계층을 불문하고 다양한 계층이 드나들며 차 소비와 문화활동이 이루어졌다. 차사는 다양한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다양한 업태의 영업과 홍보 전략을 궁리해냈다. 이시기 차는 이미 필요불가결의 생필품으로 친밀한 물품으로 의례와 증물로 널리 이용이 되었다. 국가는 차를 통한 이익을 재정수입으로 확보하기 위해 전매제도를 통해 적극적으로 유통을 통제하고, 이를 위한 전담 관청을운영했다
영문 초록
Menglianglu is a collection of 20 books written by Wu Zimu on the prosperity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focusing on Lin An city. It explains the facilities and geography of Lin An, products, civilians, and customs, and provides a wealth of data that enables one to understand urban life and culture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Focusing on Menglianglu,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tea culture of the Southern Song period through the analysis of tea-related articles contained in this book. The development of commerce, industry, and cities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brought about the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popular culture. As the level of popular cultural consumption increased, tea consumption also expanded, which can be said to have brought about the daily routine of tea culture. To accommodate the tea consumption of various classes, various forms of tea commercial activities emerged, and the center of these was the tea house. In the tea house, people of various classes came and went to consume tea and engage in cultural activities. Tea houses devised various business and promotion strategies to attract customers. During this period, tea was already an indispensable daily necessity and was widely used in rituals and as gifts. The state actively controlled the distribution through a monopolistic system to secure profits from tea as financial income and operated a dedicated government office for this purpose.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매월당시사유록(梅月堂詩四遊錄)』의 차시(茶詩)에 나타난 차정신
-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The Illustrated London News)》에 나타난 빅토리아 시대 후기의 차 광고 연구
- 국내 자생 황녹색잎 차나무 유전자원의 생육 및 성분 특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