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전통 미생물발효차 청태전의 다원에 따른 미생물 군집 및 아미노산 특성 조사

이용수 0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and Amino Acid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Tea ‘Chungtaejeon’ Produced by Various Tea Plantations in Jangheung, Jeonnam
발행기관
한국차학회
저자명
김병혁(Byung-Hyuk Kim) 권윤숙(Yun-Suk Kwon) 홍하림(Ha Rim Hong) 송은영(Eun-Yong Song) 한현희(Hyun-Hee Han) 문두경(Doo-Gyung Moon)
간행물 정보
『한국차학회지』제30권 제3호, 54~63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태전은 고대 삼국시대부터 전승된 한국의 독창적인 미생물 발효차로, 발효과정을 통해 고유한 차 맛을형성한다. 한국 전통 미생물발효차 ‘청태전’은 전라남도 장흥의 다양한 다원에서 생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장흥의 4곳 다원에서 생산된 청태전의 박테리아 군집 구조와 유용물질(아미노산, 카테킨)의 함량을 측정했다. 박테리아 군집 분석 결과, 모든 청태전에서 Pantoea sp.가 72% 이상 우점하는 것을 확인했지만, Pantoea sp.를 제외한소수의 박테리아 군집은 상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청태전의 아미노산과 카테킨 함량을 측정한 결과, theanine, L-aspartic Acid, L-glutamic acid, γ-aminobutyric acid, NH3, L-ornithine,카테킨 함량이 높았으며, 다원에 따라 유용물질의 함량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태전의 미생물 다양성이 제품의 품질과 특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한국 전통 미생물발효차의 가치와 전통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Chungtaejeon is a unique microbial fermented tea that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since ancient times in Korea. Microbial fermentation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its distinct flavor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This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tea is produced in various tea plantations across Jangheung, Jeollanam-do province. This study measured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the content of useful substances (amino acids and catechins) in Chungtaejeon produced at four different tea plantations in Jangheung. The analysis of the bacterial community revealed that Pantoea sp. was predominant in all the Chungtaejeon samples, with over 72% dominance, while a few bacterial communities excluding Pantoea sp. were found to be distinct. Also, the analysis of amino acids and catechin content in the Chungtaejeon showed high levels of theanine, L-aspartic acid, L-glutamic acid, γ -aminobutyric acid, ammonia (NH3), L-ornithine, and catechins, with variations observed among samples from different tea far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crobial diversity of Chungtaejeon may contribute to the q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Moreover, the result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preserving and advancing the value and tradition of traditional Korean microbial fermented teas.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병혁(Byung-Hyuk Kim),권윤숙(Yun-Suk Kwon),홍하림(Ha Rim Hong),송은영(Eun-Yong Song),한현희(Hyun-Hee Han),문두경(Doo-Gyung Moon). (2024).한국전통 미생물발효차 청태전의 다원에 따른 미생물 군집 및 아미노산 특성 조사. 한국차학회지, 30 (3), 54-63

MLA

김병혁(Byung-Hyuk Kim),권윤숙(Yun-Suk Kwon),홍하림(Ha Rim Hong),송은영(Eun-Yong Song),한현희(Hyun-Hee Han),문두경(Doo-Gyung Moon). "한국전통 미생물발효차 청태전의 다원에 따른 미생물 군집 및 아미노산 특성 조사." 한국차학회지, 30.3(2024): 54-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