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차의 생산지와 등급에 따른 주요 성분의 특성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Components of Various Grades of White Tea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김어진(Eo Jin Kim) 오은의(Eun Ui Oh) 송관정(Kwan Jung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30권 제3호, 64~73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국의 대표적인 백차와 국내 생산 백차를 대상으로 생산지와 등급에 따른 주요 성분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백차 제다의 품질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중국 푸딩산과 윈난산의 3개 등급의 백차, 제주산과 하동산의 ‘백모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아미노산 및 개별 아미노산 함량은푸딩산이 윈난산보다 높았고, 국내산이 중국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수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총 폴리페놀 및 카테킨 함량은 윈난산이 푸딩산보다 높았고, 중국산이 국내산보다 높았으며, ‘백호은침’, ‘백모단’, ‘수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테아플라빈 및 테아루비긴 함량은 국내산이 중국산보다 낮았고, ‘수미’에서 가장 높게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백모단’ 급 이상의 백차는 아미노산, 폴리페놀, 카테킨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품질이좋았으며, 지역에 따라서도 성분 특성의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components of representative Chinese white tea and domestically produced white tea according to the production regions and grades. The aim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setting the quality standards for domestic white tea production. Three grades of white tea from Fuding and Yunnan in China, and ‘WP’ from Jeju and Hadong in Korea were analyzed. The total amino acids and individual amino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the teas from Fuding than in those from Yunnan, higher in domestically produced tea than in Chinese tea, and lowest in ‘SM’. On the other hand, the total polyphenol and catechin contents were higher in the teas from Yunnan than in those from Fuding, higher in Chinese tea than in domestically produced tea, and highest in the order of ‘BHYZ’, ‘WP’, and ‘SM’. The theaflavin and thearubigin contents were lower in domestically produced tea than in Chinese tea, and highest in ‘S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hite tea of ‘WP’ grade or higher contain high amounts of amino acids, polyphenols, and catechins, indicating good quality.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nents depending on the production region.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매월당시사유록(梅月堂詩四遊錄)』의 차시(茶詩)에 나타난 차정신
-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The Illustrated London News)》에 나타난 빅토리아 시대 후기의 차 광고 연구
- 국내 자생 황녹색잎 차나무 유전자원의 생육 및 성분 특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