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연의소설의 발전과 국내 유입에 대한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of Chinese “yanyi” Novels and Their Introduction to Korea
발행기관
한국중국소설학회
저자명
양바름(Ba-Reum Yang) 민관동(Kwan-Dong Min)
간행물 정보
『중국소설논총』제74집, 59~8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의라는 개념은 각종 경사자집 서적을 쉽고 명확하게 풀어 설명하는 일종의 서술 방식의 문체적 의미로, 宋代 眞德秀의 《大學衍義》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처음에는 《周易衍義》, 《尙書衍義》, 《論語衍義》 등의 경서들을 해제하는 개념으로 출현하였으나, 후에는 諸子百家 및 詩文集에도 적용되어 《孫子演義》, 《詩演義》, 《杜律演義》와 같은 서적들이 출현하였다. 그 후 연의는 역사적 사건에서 스토리의 재료를 얻고 여기에 흥미로움을 가미하여 ‘역사 연의’라는 새로운 장르로 재탄생되었다.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만들어진 ‘역사 연의’는 ‘경전 연의’나 ‘시문집 연의’와는 비교할 수 없는 독자층의 애호와 환영을 받으며 발전하였다. 연의소설이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소설이 바로 나관중의 《三國志通俗演義》(嘉靖本의 書名)이다. 이렇게 시작된 연의소설 중에는 단순한 ‘역사 이야기’를 부연하여 설명한 것도 있지만, ‘역사 인물’을 위주로 부연하여 설명한 작품도 있으므로 연의소설은 크게 ‘시대 연의’와 ‘인물 연의’ 두 부류로 분류할 수 있다. 중국 고전소설 가운데 서명이 연의소설이라고 된 작품을 조사해 보니 대략 50여 종이 되었다. 그러나 간혹 《列國志》처럼 확실한 연의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서명에 연의소설이라는 이름이 보이지 않는 유형도 종종 발견된다. 이처럼, 당시에는 연의소설에 대한 분류기준이 따로 없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간행 당시 편저자 혹은 출판업자들이 독자층의 관심과 호기심을 끌기 위해 상업적인 목적으로 서명에 ‘연의’를 붙인 것으로 확인되기 때문이다. 국내에 유입된 연의류 소설은 대략 45종으로, 이는 16세기 초중기 《三國志通俗演義》부터 유입되기 시작하여 임진왜란 전후에 대량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 작품을 시대별로 구분하면 명대의 작품이 28편, 청대의 작품이 27편으로 비슷한 비중을 보인다. 그리고 유입된 45종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21종이 번역되었다. 또 국내에서 출간된 작품으로 《三國演義》, 《西漢演義》, 《薛仁貴征東全傳》 등 총 세 편이 있는데 《三國演義》는 원문본과 번역본 모두 출간되었지만, 그 외 《西漢演義》와 《薛仁貴征東全傳》은 조선 말기에 방각본으로 번역출간 되었다.

영문 초록

The concept of “yanyi” refers to a narrative style that aims to clearly and simply explain various historical texts, originating from Song Dynasty scholar Zhen Dexiu’s work, “Daxue Yanyi.” Subsequently, yanyi drew materials from historical events and added elements of intrigue, giving rise to a new genre known as “historical yanyi.” The first novel to be labeled as a yanyi novel is Na Guanzhong’s “Sanguozhi Tongsu Yanyi.” Among yanyi novels, some simply elaborate on “historical stories,” while others focus on “historical figures,” allowing for a broad classification into two categories: “era yanyi” and “figure yanyi.” In the realm of Chinese classical novels, there are approximately 50 works identified as yanyi novels. However, there are instances, such as in “Lieguo Zhi,” where a definitive yanyi novel does not explicitly bear the title “yanyi.” This suggests that there were no established classification criteria for yanyi novels at the time. It appears that editors or publishers, aiming to attract the interest and curiosity of readers, commercially opted to include “yanyi” in the titles. In Korea, around 45 yanyi-related novels were introduced, starting from the early 16th century with “Sanguozhi Tongsu Yanyi,” and a significant influx occurred around the time of the Imjin War. Among the 45 imported works, nearly half, or 21, were translated. The published works in Korea include “Sanguo Yanyi,” “Xihan Yanyi,” and “Xue Ren Gui Zheng Dong Quanzhuan.”

목차

1. 서론
2. 연의소설의기원과발전
3. 시대연의류소설목록과분석
4. 인물연의류소설목록과분석
5. 연의류소설의국내유입과판본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바름(Ba-Reum Yang),민관동(Kwan-Dong Min). (2024).중국 연의소설의 발전과 국내 유입에 대한 고찰. 중국소설논총, (), 59-86

MLA

양바름(Ba-Reum Yang),민관동(Kwan-Dong Min). "중국 연의소설의 발전과 국내 유입에 대한 고찰." 중국소설논총, (2024): 59-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