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스포츠행사의 테러 사례 분석을 통한 정책적 함의
이용수 0
- 영문명
-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errorism Cases at International Sports Events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저자명
- 박정섭(Jung Sub Park) 이대권(Dae Kw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제17권 제2호, 28~46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극우주의와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에 의한 폭력 사태와 테러 공격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테러유형에는 차량 돌진, 자살 폭탄 테러, 무장 공격 등이 포함되며, 이 공격들은 주로 대규모 공공 행사와 같은 소프트 타깃을 겨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스포츠행사에서 발생한 테러 사례를 분석하여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문헌 및 사례 연구와 정책 분석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국제스포츠행사에서의 테러 위협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대응 전략 개발에 필요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국제경기대회지원법」을 개정하여 조직위원회가 자체적으로 테러 및 안전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테러방지법」에서 중복되거나 충돌하는 법률 조항을 재검토하고, 각 유관 기관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규정해야 한다. 셋째, 분산된 정보 시스템을 하나의 통합된 플랫폼으로 결합하여 실시간 정보공유와 상호 작용을 촉진해야 한다. 넷째, 인재풀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대테러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risk of violent incidents and terrorist attacks by far-right and Islamic extremist groups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These types of terrorism include vehicle ramming, suicide bombings, and armed attacks, primarily targeting soft targets such as large public events.
This study analyzes terrorist incidents at international sports ev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policy analysi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By deeply examining the threats of terrorism at these events, the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necessary for developing integrated and multidimensional response strategies.
First, the “International Sports Event Support Act” should be amended to enable the organizing committee to independently establish systems to respond to terrorism and safety threats. Second, overlapping or conflicting provisions within the “Anti-Terrorism Act” should be reviewed, an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relevant agencies should be clearly defined by law. Third, the dispersed information systems should be integrated into a unified platform to facilitate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and interaction among agencies. Fourth, a talent poo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ensure the availability of human and technical resources, and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strengthen counter-terrorism cap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일반적 검토
Ⅲ. 테러유형과 사례 분석
Ⅳ. 문제점과 정책적 함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하이브리드전 수단으로서의 인지적·복합 테러공격 융합 양상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사례
- 국제스포츠행사의 테러 사례 분석을 통한 정책적 함의
-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경험이 일반적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범죄 취약성을 중심으로
- 대테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테러관련법제의 개정방향을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상사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 중동지역 대한민국 재외공관 대테러 방호 및 외교관 안전 확보 연구
- 유형별 재난현장에 적합한 의사결정 체계의 개발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와 북한 대남테러 비교 분석 : 사상적 공통점을 중심으로
- 소말리아의 클랜 분열과 알샤바브의 지배력
- 식품테러 대응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