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허박스 도입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Patent Boxes
발행기관
한국세무학회
저자명
문예영(Ye Young Moon) 기은선(Eun Sun Ki)
간행물 정보
『세무학연구』제41권 제4호, 75~125쪽, 전체 5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8,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그 동안 우리나라는 주로 R&D 지출에 대한 세금감면을 통해 혁신기술 투자를 장려하여 왔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혁신기술을 가진 다국적기업 유치경쟁이 치열해지면서 R&D 성과물의 사업화소득에 우대세율을 적용하는 특허박스제도에 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특허박스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가장 큰 이슈는 특허박스소득을 어떻게 산정하고, 세무당국이 이를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본 연구는 영국과 네덜란드 세무당국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양국의 특허박스제도를 조사했다. 또한 기업실무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국내실정에 적합한 특허박스 도입방안을 설계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법인이 신성장·원천기술 및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R&D활동의 결과로 획득한 특허를 활용하여 얻은 사업소득에 대해 대기업은 12%, 중소기업은 5%의 우대세율을 적용하는 특허박스 제도의 도입을 제안했다. 본 연구는 외국제도에 대한 조사에 그치지 않고, 기업실무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국내실정에 적합한 특허박스도입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특허박스 도입과 관련된 정책적 논의에 중요한 실무적 공헌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Korea has been encouraging investment in innovative technologies mainly through tax credits for R&D expenditures. However, as competition to attract multinational companies with innovative technologies intensifies worldwide, interest in patent boxes is increasing. In order to design a patent box that fits domestic circumstances, we investigate overseas cases and conduct a survey. The UK calculates the patent box deduction using a structured formula, so the burden of verification by the tax authorities is low. In addition, the UK provides taxpayers with a detailed manual. Meanwhile, the Netherlands eliminates the uncertainty of the patent box by using the ruling. Dutch companies can apply for R&D tax credit and patent box only if they receive an R&D certificate from RVO. We judged that the British method is more desirable among the two countries. Therefore, we design a Korean patent box based on the British method. We propose the Korean patent box that applies a preferential tax rate of 12% for large corporations and 5%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business income derived from patents acquired as a result of R&D activities for new growth and national strategic technologies. The introduction of the patent box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our country's national competitiveness as a base for innovative companies by strengthening tax support for commercialization of patents.

목차

Ⅰ. 서 론
Ⅱ. 특허박스 제도
Ⅲ. 우리나라의 R&D 투자 및 세제지원 현황
Ⅳ. 해외의 특허박스 도입 현황
Ⅴ. 특허박스 도입에 관한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
Ⅵ. 한국형 특허박스의 설계
Ⅶ.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예영(Ye Young Moon),기은선(Eun Sun Ki). (2024).특허박스 도입에 관한 연구. 세무학연구, 41 (4), 75-125

MLA

문예영(Ye Young Moon),기은선(Eun Sun Ki). "특허박스 도입에 관한 연구." 세무학연구, 41.4(2024): 75-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