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의 헬스리터러시와 건강증진 행위
이용수 0
- 영문명
- Women's 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김민경(Min-kyung Kim) 조경원(Kyoung-Won Cho)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2 No.2, 485~49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의 기능적, 언어적 헬스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하고, 헬스리터러시와 건강증진 행위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여성 건강증진 및 헬스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여성의 기능적 헬스리터러시와 언어적 헬스리터러시가 건강증진 행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연령과 결혼상태, 교육수준에 따른 건강증진 행위 차이가 있었다. 향후 대상자의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등을 고려하여 건강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건강증진 행위의 실천을 촉진하고 건강불평등을 해소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women's functional and linguistic health literacy levels,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women's health promotion and health literacy improv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linguistic health literacy were closely related to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health promotion behaviors by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level.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access to health information and provide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to promote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resolve health inequalities by considering the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al level of the subject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과 사회적지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AI 챗봇 기반 응급환자 분류의 성능 분석
- 강원특별자치도의 의료 이용 현황에 관한 고찰
-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활용한 화상환자의 특성과 재원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지각된 스트레스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총론 및 의사소통 영역과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및 국어과 영역 간 연계 분석
- 예비영유아교사의 교직관 분석
- 대학 교양교육의 변화와 발전 방안에 관한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사회적 지지, 교직관의 관계 연구
- 글로컬대학 30 온라인 교육 서비스 분석: 2023년 선정된 국립대학중심으로
-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의 안전교육 필요성에 관한 조사
-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DACUM 기법을 적용한 응급의료 취약지역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분석
- PROMPT 중재가 말실행증 아동의 양순음 및 모음정확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단일대상연구
-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과 전공만족과의 관계
- 일개 전문대학 대학생의 NCS 직업기초능력 비교: 보건 계열 학과를 중심으로
-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업성취도의 매개효과
- 65세 이상 노인층의 연령구간별 입원 및 요양기관급별 간병현황에 관한 연구: 2021년 의료패널을 중심으로
- 구강운동 프로그램 전·후 구강 운동 수행 능력 개선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임상 추론 역량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근거기반 실무 역량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 안전동기 및 환자안전태도가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자연치유요법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간호조직문화, 사회적 지지와 간호단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중소병원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성의 헬스리터러시와 건강증진 행위
- 혀 근력이 낮은 노인의 설압 기능 개선 강화 증례보고
- 메타인지와 인지적 유연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Rosenbek에 의한 8단계 기법이 말실행증 환자의 단어 모방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일대상연구
- 간호대학생의 돌봄인성과 전공만족이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 3D프린팅 치과용 액상형 광경화성 재료의 유해가스 배출에 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자기자비, 자아존중감, 타인에 대한 태도 연구
- 10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지각된 스트레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구조모형 분석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전환충격이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돌봄에 대한 인식이 다문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일개 대학 한국어 어학연수과정 외국인 유학생의 결핵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다양한 당뇨병 유형의 발병 위험 요인 분석 및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예측 모델 개발에 관한 종합적 연구
- 성인의 심폐소생술 교육 이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시뮬레이션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그릿, 환자안전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응급구조과 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아동중심중재가 말늦은 아동의 어휘 모방에 미치는 효과: 단일대상연구
- 여성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에 관한 생애사연구
- 음악과 함께하는 건강체조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체력, 동적균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일부 대학생들의 잇솔질 횟수 및 행태에 따른 구강건강 관리에 관한 연구
- 직업체험 프로그램이 일 여자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전쟁 전·후 여성 아동복지와 간호
-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활용하여
- 치위생학과 전공 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와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