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총론 및 의사소통 영역과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및 국어과 영역 간 연계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s General Principles and Communication Areas and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General Principles and Korean language Areas
발행기관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저자명
박유미(Yu-Mi Park) 박선미(Seon-Mi Park)
간행물 정보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2 No.2, 301~31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초 연계가 강화된 교육과정 개발 및 교사들의 유·초 연계 교육의 기초자료로 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 총론 및 의사소통 영역,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및 국어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텍스트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을 분석한 결과 누리과정은 미시적인 차원,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보다 거시적 차원의 단어의 중앙성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교육과정의 ‘목표’를 분석한 결과 누리과정에서는 유아, 성장, 경험, 건강 등의 단어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교육 및 학교, 학습 등 형식적 교육과 관련된 단어가 중앙성값과 연결망에서 강조되는 단어로 나타났다. 총론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분석한 결과 누리과정에서는 놀이, 계획, 기관, 특성 등의 단어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학교, 학습, 교과, 학년 등의 단어가 강조되고 있었다. 둘째, 누리과정의 의사소통영역과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누리과정에서는 말, 책, 이야기, 경험 등의 단어가 강조되고 있었으며,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말, 글 등 형식적인 국어 교육과 관련된 단어가 강조되고 있었다. 위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개정 및 유·초 연계 자료 개발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strengthens the articu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and to use it as basic data for teachers to link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text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General Principles and Communication Area, and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General Principles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n the general theory of the Nuri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words emphasized in the centrality value and network were found to reflect the series and continuity of the curriculum.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urricula in term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The words emphasized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Nuri curriculum and the ‘Korean language area’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lso reflected the series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but among the words emphasized in the centrality value and network, words related to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urriculum.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유미(Yu-Mi Park),박선미(Seon-Mi Park). (2024).2019 개정 누리과정의 총론 및 의사소통 영역과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및 국어과 영역 간 연계 분석.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12 (2), 301-311

MLA

박유미(Yu-Mi Park),박선미(Seon-Mi Park).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총론 및 의사소통 영역과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및 국어과 영역 간 연계 분석."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12.2(2024): 301-3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