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 장애인의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 실태와 만족도 조사: 천안, 아산 지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Survey on the Status and Satisfaction of Home Visit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Cheonan and Asan Regions
발행기관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저자명
강보라(Bora Kang) 강미영(Miyeong Gang) 장기연(Kiyeon Chang) 성열주(Yeouliju Sung)
간행물 정보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제16권 제2호, 27~3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재활의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장애인의 가정방문작업치료 서비스에 대한 재활서비스의 실태 및 이용자 만족도를 확인하여 지속적인 재활치료 지원 사업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24년 2월부터 8월까지 C 기관에서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를 6개월 이상 제공받은 20대 이상 성인 장애인 중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는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비확률적 표본추출의 방법 중편의표집과 판단표집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설문은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설문지 배포 및 회수는 사전교육을 받은 3명의 조사자들이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를 받는 대상자의 자택을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40부를 조사하였으나 부실 기제 및 불성실하게 응답한 1부를 제외한 39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 질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빈도 분석, 다중응답 빈도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기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 질의 전체 점수는 평균 4.68점으로 나타났다.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는 평균 4.70점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의 경우 서비스질의 신뢰성이 가장 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서비스의 대응성, 서비스의 공감성, 서비스의 확신성, 서비스의 유형성 순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요인 결과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서비스 질의 유형성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의 경우 서비스 질의 신뢰성이 가장 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요인 분석에서는 정적인 영향력이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의 만족도가 여러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support projects by evaluating the service status and user satisfaction of home visit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The study included 40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ged ≥20 years who had received services for 6 months. Participants had no communication barriers, and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before participation. Surveys were administered by three pre-trained investigators through home visits to the service recipients. Although 40 surveys were initially investigated, 39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due to one incomplete response. Data analysis involved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frequency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verage overall score for service quality was 4.68, while user satisfaction averaged 4.70.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service reliability strongly correlated with user satisfaction, followed by responsiveness, empathy, certainty, and tangibility. However,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identified no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indicating that satisfaction with home visit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may be shaped by multiple variabl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Ⅵ. 요 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보라(Bora Kang),강미영(Miyeong Gang),장기연(Kiyeon Chang),성열주(Yeouliju Sung). (2024).성인 장애인의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 실태와 만족도 조사: 천안, 아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16 (2), 27-36

MLA

강보라(Bora Kang),강미영(Miyeong Gang),장기연(Kiyeon Chang),성열주(Yeouliju Sung). "성인 장애인의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 실태와 만족도 조사: 천안, 아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16.2(2024): 27-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