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킴장애 환자의 혀 기능 회복을 위한 공간인지 운동 훈련도구 개발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of a Spatial Cognitive Exercise Training Tool to Restore Tongue Function in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저자명
이정원(Jeong-Weon Lee)
간행물 정보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제16권 제2호, 21~26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의약학 > 재활의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먹기는 일상생활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활동이며, 출생에서부터 사망할 때까지 생존에 필수적이다. 혀는정상적인 씹기와 삼킴 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된다. 본 연구는 조절된 혀의 운동기능과 음식의 형태와질감을 탐색 및 분별 기능 회복을 효율적으로 훈련할 수있는 훈련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방법: 혀는 입안에서 음식물의 단단하거나 부드러운 정도, 형태와 위치, 이동을 인지하여 씹기 기능을 총괄 지휘한다. 삼키는 동안 활동하는 근육을 포함하여 골격근의 고유한 가소성을 고려하면 운동은 연하곤란 재활치료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현재 다양한 근육 강화 훈련이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훈련의 효능을 명확하게확립하고 치료 프로그램의 개별화를 허용하기 위한 과학적, 객관성의 근거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훈련 도구는 훈련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측정이 가능하며, 운동량이 디지털 수치화되는 삼차원적 분석을 추구하였다. 결과 및 결론: 다만, 초기 단계의 시제품 개발과 디자인도안에 머물러 있기에 향후 시제품 완성을 통한 유용성 평가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Eating is a fundamental activity essential for survival throughout life. The tongue identifies the strength, shape, location, and movement of food in the oral cavity and oversees masticatory function, playing a vital role in normal chewing and swallowing.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raining tool to efficiently restore the tongue's controlled motor function and its ability to explore and discriminate food shapes and textures. Given the inherent plasticity of skeletal muscles, including those active during swallowing, exercise may significantly contribute to dysphagia rehabilitation. While various muscle-strengthening training methods are in use, scientific and objective evidence to clearly establish their efficacy and enable individualized treatment programs remains limited. The training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directly measure training effectiveness through three-dimensional analysis with digitally quantified exercise metrics. However, as the tool is still in the early prototype development stage, further usability evaluations are needed following prototype comple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고 찰
Ⅳ. 요 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원(Jeong-Weon Lee). (2024).삼킴장애 환자의 혀 기능 회복을 위한 공간인지 운동 훈련도구 개발.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16 (2), 21-26

MLA

이정원(Jeong-Weon Lee). "삼킴장애 환자의 혀 기능 회복을 위한 공간인지 운동 훈련도구 개발."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16.2(2024): 2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