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도(淸道) 화산동(華⼭洞) 바위글씨의 분류와 그 의미
이용수 2
- 영문명
- Classific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Rock Inscriptions in Hwasan-dong, Cheongdo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이상동(Sang-dong Lee)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88집, 97~12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도(淸道)의 어원이 ‘산과 시내가 맑고 아름다우며 큰 길이 사방으로 통한다.(⼭川淸麗 大道四通)’에서 나온 것인 만큼 맑고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수놓은바위글씨의 정수(精髓)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산68-32에 소재한 바위글씨라고 할 수 있다.
화산동의 옥정암(玉井巖) 아래 새겨진 정하언(鄭夏彦, 1702~1769)의 글귀, 취암 아래 1838년에 새긴 청도 문사 이관용(李觀瑢)의 언급, 그리고 권상규(權 相奎, 1829~1894)의 「유옥정동기(遊玉井洞記)」 등을 통해 바위글씨의 제작 시기와 경위, 서자(書者)를 확인할 수 있다. 그 가운데 화산동문(華⼭洞門)·백석뢰(白石瀨)·질양석(叱羊石)·자시유인불상래(自是遊人不上來)·운금천(雲錦川)·만옥대(萬玉臺)·연주단(聯珠湍)·유하담(流霞潭)·일감당(⼀鑑塘)·용항(⿓吭)·옥정암(玉井巖)·낙안봉(落雁峯) 12점의 장소에 따른 작명(作名)은 이협(李埉), 글씨는 정하언(鄭夏彦), 새긴 시기는 1742년이다. 이들에 의해 화산동에는 18세기옥정암(玉井巖)이라는 새로운 경관이 형성되었고, 19세기에는 청도 문사들이이 일대를 중심으로 시회(詩會)를 열어 소통하는 풍류의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19개의 바위 및 벼랑 면에 새겨진 총 32점의 화산동 바위글씨는 옥정암을중심으로 한 이협과 정하언의 글씨 12점, 취암과 산수정을 중심으로 한 청도문사들의 글씨 15점, 그리고 글씨의 주인공을 확인하지 못한 5점으로 분류할수 있다. 바위글씨에 드러난 사상은 유불선(儒佛仙)이 혼재한 양상을 보이는데, 탈속(脫俗)을 통한 선계(仙界)의 지향이 상대적으로 선명하게 드러남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etymology of Cheongdo originates from the phrase “mountains and streams are clear and beautiful, and the great roads connect in all directions”(⼭川淸麗 大道四通). The rock inscriptions located at San 68-32, Dongcheon-ri, Hwayang-eup, Cheongdo-gun, epitomize this essence, reflecting the pristine and beautiful natural scenery that defines Cheongdo.
The timing, circumstances and writers of the production of rock inscriptions can be found through Jeong Ha-eon(鄭夏彦, 1702~1769)'s inscription on Okjeongam(玉井巖) in Hwasan-dong, remarks left by Lee Kwan-yong(李觀瑢), who engraved the text on the Chuam in 1838, and Kwon Sang-gyu(權相奎, 1829~1894)'s 「Yuokjeongdonggi(遊玉井洞記)」
The naming of the twelve spots-Hwasandongmun (華⼭洞門), Baekseoknae (白石瀨), Jilyangseok (叱羊石), Jasiyuinbulsangnae (自是遊人不上來), Ungumcheon (雲錦川), Manokdae (萬玉臺), Yeonjudan (聯珠湍), Yuhadam (流霞潭), Ilgamdang (⼀鑑塘), Yonghang (⿓吭), Okjeongam (玉井巖), Nakanbong (落雁峯)-was named by Lee Hyeop (李埉), the calligraphy was written by Jeong Ha-eon (鄭夏彦), and they were engraved in 1742.
Through their efforts, a new scenic spot called Okjeongam (玉井巖) was formed in Hwasan-dong in the 18th century. In the 19th century, literati from Cheongdo held poetry gatherings in this area, establishing it as a space for cultural exchange and refined enjoyment.
The total of 32 rock inscriptions carved on the rocks and cliffs of Hwasan-dong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12 inscriptions by Lee Hyeop and Jeong Ha-eon centered around Okjeongam, 15 inscriptions by Cheongdo literati centered around Chuiam and Sansujeong, and 5 inscriptions whose authors have not been identified.
The philosophy revealed in the rock inscriptions shows a mixtur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emphasizing the aspiration toward the realm of immortals (仙界) through the transcendence of the mundane world.
목차
Ⅰ. 머리말
Ⅱ. 고사동, 옥정암, 화산동
Ⅲ. 바위글씨의 분류와 그 의미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