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소설을 활용한 문학관의 운영 방안 검토 - ‘김광순 소장 필사본’을 중심으로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the Operational Plan of the Literature Museum by Operations for : Focus on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강민희(Minhee Kang) 이승우(Seung Woo Lee) 채광수(Gwangsu Chae)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88집, 5~2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학 공간은 크게 문학 작품 내에서 작가의 상상력으로 창조된 공간과 실재하는 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그중 후자에 속하는 문학관은 문학적 유산을보관하고 전시하여 기억을 유지함은 물론, 지역의 유의미한 문화자원으로서도그 의미가 또렷하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논자들은 ‘김광순 소장 필사본’ 의 문화콘텐츠화 방안의 일부인 ‘김광순 고소설 문학관(가칭)’의 운영 방향을모색하고자 한다. ‘김광순 소장 필사본’은 ‘김광순 소장’이 학자적 면모와 스승으로서의 소명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수집해 온 필사본 한국고소설로 “필사자가 필사하는과정에서 작자의 세계관과 인생관에 따라 변모 서술되면서 첨삭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필사자의 개성이 잘 반영된 독특한 異本의 성격을 지니고 있”고, “기존작품과 대비해 보면 같은 제목의 작품이라도 다른 개성을 지니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변모 첨삭되어 이본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국문학사적 가치가 높다. 또, 이를 수집한 ‘김광순 소장’은 “한국 고소설 연구자 중에 택민(澤⺠) 김광순(⾦光淳) 선생 연구의 도움을 받지 않은 사람은 없”는 칭송을받을 정도로 “고소설 수집과 교육, 연구에 매진한 김광순 교수의 노고와 헌신, 식지 않는 열정을” 가진 인물이라는 점에서 선양의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구체적인 논의를 전개하기 위하여 ‘김광순 소장 필사본’과 ‘김광순 소장’의현재적 가치를 도출하고, ‘필사본 고소설’이라는 독특한 문학자원을 활용한 문학관의 가능성을 타진하며 방문객의 체험과 향유를 강화하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학술적·문화산업적 가치를 획득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Literary spaces can be categorized into those conceived by the artist's imagination and those that exist as tangible entities within literary works. The latter category, particularly the literary hall, serves not only as a significant cultural resource within the region but also plays a crucial role in preserving memory by archiving and showcasing literary heritage. In light of this context, the commentators aim to investigate the operational direction of the Kim Gwang-soon Ancient Literature Museum (tentative name) as a component of the “Literature Content Literature Museum. on the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which has been meticulously collected over a n extended period, reflecting both its a ca demic significance and the dedication of its compiler as an educator. The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represents a classic Korean novel that has been curated by Kim Kwang-soon, embodying a distinctive character that effectively conveys the personality of the scribe. This is largely due to the fact that the manuscript is frequently described and amended in accordance with the author's worldview and philosophical outlook during the transcription process. As noted, to existing works, even those sharing the same title exhibit differing personalities. valu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s it has been altered and refined to embody the characteristics of a copy. Furthermore, Kim Kwang-soon, the curator of this collection, is regarded a s a figure of significa nt merit due to his pa ssion a s a professor dedicated to the collection, education, and research of ancient novels. academic and cultural industrial value, as it explores the potential of a literary museum utilizing the unique literary resource known as seeks to enhance visitors' experiences and enjoyment while deriving the intrinsic values of “K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and establishing foundational directions for the literature museum based on these insights.

목차

Ⅰ. ‘지금, 여기’의 문학콘텐츠 문학관
Ⅱ.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의 가치 검토
Ⅲ. ‘김광순 고소설 문학관’의 운영 방안 제안
Ⅳ. 지역의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김광순 고소설 문학관’을 위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민희(Minhee Kang),이승우(Seung Woo Lee),채광수(Gwangsu Chae). (2024).고소설을 활용한 문학관의 운영 방안 검토 - ‘김광순 소장 필사본’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 5-25

MLA

강민희(Minhee Kang),이승우(Seung Woo Lee),채광수(Gwangsu Chae). "고소설을 활용한 문학관의 운영 방안 검토 - ‘김광순 소장 필사본’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2024): 5-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