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식문화의 수원지(水源池)로서 서원 장서 - 장서의 수집과 활용

이용수 2

영문명
Seowon Collections of books as the Fountainhead of Knowledge and Culture :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Seowon Book Collections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박소희(So Hee Park)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88집, 27~6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서원은 기증, 내사본, 구입 및 간행 등을 통해 서적을 확보하고지역 내 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했다. 남계서원의 경우, 초기 설립 단계부터 함양 지역의 유림이나 남명학파의 일원들이 서적을 기증해왔다. 이 서적들은 대부분 경서류와 성리서의 비중이 높은 가운데 중국 학자들의 문집과 역사서도일부 포함되어 있었다. 유교 경전의 비율이 높은 것은 서원의 강학 교재와 관련되어 있으며, 성리서의 비중이 큰 것은 당시 학자들의 성리학에 대한 관심이 높았음을 의미한다. 사액서원이 된 후 남계서원에는 조정에서 직접 간행한 신간 서적들이 내사본으로 내려졌고, 이를 포함하여 임진왜란 이전까지 약 천 권에 달하는 장서를 보유하였다. 그러나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면서 대부분의 책이 소실되었다. 이후 서원은 기증, 간행, 구입 등을 통해 다시 장서를 확보하였고, 특히남명 문묘종사 시기 남명집을 구입한 것에서 당시 서원 운영세력과 남명학파와의 연관성을 알 수 있다. 한편, 서원이 지역 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사람들이 서적을대출하였다. 보통 서원의 원임과 원생이 책을 빌렸다고 생각하지만, 도동서원의 사례를 보면 비원생들도 다수 책을 발려간 것으로 나타난다. 다만 이들 역시 지역을 대표하는 가문의 일원으로서, 서원 원임들과도 일정부분 연고가 있던 경우가 많았다. 대출 기간은 매우 다양했으며, 1년 이상 빌려가는 경우도있었고, 책을 반납하지 않은 경우도 다수 확인되었다. 이에 서원에서는 서적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서책출납치부와 같은 기록을 남겨 서적 관리를 철저히 하였다. 이렇게 서원에서 책을 읽고 공부한 사람들은 향후 과거에 합격하거나 서원의 관리, 향교의 도유사로 활동하여 지역 사회를 이끌어 나갔다.

영문 초록

During the Joseon Dynasty, Seowon secured their collections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donations, book granted by the King, purchases, and publications, thus serving as regional hub libraries. In the case of Namgye Seowon, members of the local Confucian scholars from Hamyang, or members of the Na mmyeong School, dona ted books from the ea rly sta ges of the Seowon's establishment. Most of these books comprised Confucian classics and Neo-Confucian texts, with some anthologies and historical works by Chinese scholars also being donated. The high proportion of Confucian classics is attributed to their use as teaching materials in Seowon education, while the significant presence of Neo-Confucian texts reflects the contemporary scholars' interest in Neo-Confucianism during that period. After receiving the royal plaque, Namgye Seowon was granted Confucian classics by the king and acquired many newly published books from the royal court, accumulating around a thousand volumes. However, most of these books were lost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7 (Jeongyu Jae-ran). Subsequently, the Seowon reassembled its collection through donations, publications, and purchases. Notably, during the period of the Nammyeong Shrine Movement, the Seowon purchased Nammyeongjip, highlighting its scholarly affiliation with the Nammyeong School. Meanwhile, as Seowon fulfilled the role of a regional library, a variety of people borrowed books from its collections. It is commonly thought that only Seowon officials or students borrowed books, but the example of Dodong Seowon reveals that many borrowers were non-students as well. However, these individuals often belonged to influential local families and had some connections with Seowon officials. The borrowing period varied widely ; some borrowed books for over a year, and many did not return them at all. To prevent the loss of books, Seowon kept records such as the Seochek Chulnap Chibu (Records of Book Loans and Returns) to manage their inventory. By reading Seowon’s books and diligently studying, these individuals often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s, served as Seowon officials, or hyanggyo Doyusa in local Confucian schools, thereby leading local society.

목차

Ⅰ. 머리말
Ⅱ. 서원 장서의 수집
Ⅲ. 서원 장서의 활용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희(So Hee Park). (2024).지식문화의 수원지(水源池)로서 서원 장서 - 장서의 수집과 활용. 민족문화논총, (), 27-61

MLA

박소희(So Hee Park). "지식문화의 수원지(水源池)로서 서원 장서 - 장서의 수집과 활용." 민족문화논총, (2024): 27-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