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브 콩가르의 성령론적 그리스도론에서 성자와 성령의 파견의 일치와 구별성
이용수 0
- 영문명
- The Unity and Distinction of the Missions of the Son and the Holy Spirit in the Pneumatological Christology of Yves Congar
- 발행기관
- 신학과사상학회
- 저자명
- 하성훈(Sunghun Joseph Ha)
- 간행물 정보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No.91, 351~399쪽, 전체 4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8,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브 콩가르 추기경(1904-1995)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에서 교회론과 교회 일치, 평신도 신학 등에 많은 영향을 준 신학자이다. 그가 ‘신학전문위원’(peritus)으로 참여한 이 공의회 동안 그는 동방정교회의 신학자들과 많은 교류를 나누었는데, 그들과의 대화를 통해 라틴 신학에서 고유한 성령론이 부재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지니게 되었다. 그는 특별히 블라디미르 로스키 등의 정교회 신학자들이 서방의 신학에서 성령이 성자에게 종속되어 표현되며 고유한 성령론이 부재하는 근거가 필리오퀘 교리 때문이라는 비판을 민감하게 받아들였다. 그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지니고 공의회 이후부터 성령이 성자의 단순한 ‘대리인’이 아니라 성자와 동등함을 보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는 이 성령의 성자에의 ‘종속’적인 관계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초기에, 성령에게 성자와 관련해서 ‘자유로운 영역’이 있음을 주장하며 성령의 고유성을 찾으려고 하였지만, 이 주장은 성자와 성령을 분리시켰다는 많은 비판을 받았다. 콩가르는 이 비판을 받아들여 성자와 성령의 ‘분리’나 ‘구별’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성 바오로의 “주님은 영이십니다”(2코린 3,17)를 참조하며 두 위격의 활동의 ‘일치’를 강조함으로써 성령과 성자를 동등한 위치에 두며 그의 성령론적 그리스도론을 정립하였다. 이러한 그의 새로운 접근법은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Je crois en l’Esprit-Saint (『나는 성령을 믿나이다』) 3부작에서 이미 표현되었으나 더 분명하게는 La Parole et le Souffle(『말씀과 숨』)에서 더 발전되었다. La Parole et le Souffle에서 그는 영광스럽게 되신 그리스도가 성령에 의해 관통되어 영적인 그리스도가 되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이제 성령처럼, 성령의 방식으로 움직이신다고 말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움직이는 부활 이후의 그리스도와 성령은 그에 따르면 더 이상 구별될 수 없다. 콩가르의 이러한 신학적 여정은 삼위일체 신학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원칙인 일치와 구별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그는 구별을 강조하는 것에서 이제는 일치를 강조하는 것으로 성자와 성령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한 것이다. 그러나 삼위일체론에서 세 위격의 관계의 일치와 구별은 어느 한쪽이 더 강조될 때 여러 신학적 문제점이 드러날 위험을 지닌다. 이 연구는 이브 콩가르의 성령론적 그리스도론이 성자와 성령의 일치와 구별성이라는 관계를 균형 있게 잘 정립하였는지를 깊게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영문 초록
Cardinal Yves Congar(1904-1995) was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uncil of Vatican II in the areas of ecclesiology and ecumenism. During this council he was engaged with theologians from the Eastern Churches. Flowing from this dialog, he discerned that the area of pneumatology in Latin theology was undeveloped, and therefore leaving something lacking.
Congar partially agreed with the criticisms of Eastern theologians including Vladimir Lossky. Lossky criticized Western theology of this observed weakness in pneumatology, due to the doctrine of the Filioque. Beyond this, Congar sought to avoid the perception of a unilateral dependence between the Son and the Holy Spirit. To achieve this, he spoke of a “free sector“ for the Holy Spirit in relation to the Son, thus emphasizing the unique role of the Holy Spirit. However, this idea faced criticism as it seemed to separate the Son from the Holy Spirit. Later, Congar developed his pneumatological Christology by highlighting the unity between the Son and the Holy Spirit, particularly referring to St. Paul's words, “The Lord is the Spirit” (2Cor, 3:17). This new idea is expressed in his trilogy on the Holy Spirit (Je crois en l’Esprit-Saint), especially in La Parole et le Souffle (1984). In this study, he emphasized that the glorified Christ is filled with the Spirit and becomes the pneumatized Christ (le Christ pneumatisé); thus, He acts as the Spirit and through the mode of the Spirit. Their actions cannot be distinguished. We believe that Congar's journe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n and the Spirit is intimately linked to the two fundamental principles of Trinitarian theology: unity and distinction.
In this research, it has been examined whether Congar's pneumatological Christology indeed establishes a relationship of unity and distinction between the Son and the Holy Spirit.
목차
1. 서론: 이브 콩가르의 성령론적 그리스도론
2. 성자와 성령의 파견의 일치와 구별성
3. 경륜적 차원에서 성자와 성령의 일치와 구별성
4. 결론-일치와 구별 사이의 건강한 균형, 성령론적 그리스도론의 근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 ‘구원의 유일한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연구의 평가와 전망 - 아시아와 한국의 상황을 중심으로
- 세속화된 사회 안에서 구원의 성사 실현의 길, 시노달리타스
- L’unité et la distinction des missions du Fils et de l’Esprit-Saint dans la christologie pneumatologique chez Yves Congar
- [번역] 섭리와 고통에 관한 아퀴나스의 가르침
- [서평] 마우리치오 코스타 저『사제 정체성과 양성 사이: 사제 영성에 관하여』
- 개신교 구원관
- 에덴 동산 이미지와 회복으로서의 구원
- 영성철학이란 무엇인가? - 피에르 아도(Pierre Hadot)의 고대철학을 중심으로
- 펠라기우스 논쟁과 아우구스티누스의 구원관
- 이브 콩가르의 성령론적 그리스도론에서 성자와 성령의 파견의 일치와 구별성
- 과학 시대의 신학, 그리스도교의 구원론은 여전히 정당한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