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속화된 사회 안에서 구원의 성사 실현의 길, 시노달리타스
이용수 0
- 영문명
- Synodality as a Way to Realize the Church as the Universal Sacrament of Salvation in a Secularized Society
- 발행기관
- 신학과사상학회
- 저자명
- 최현순(Hyeon Soon Choi)
- 간행물 정보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No.91, 113~158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세속화된 한국 사회 안에서 구원의 성사로서의 교회를 실현할 적합한 길이 시노달리타스임을 보여주려고 한다. 먼저 19세기 이후 서구사회에서의 세속화, 세속주의, 세속성 개념을 살펴보았다. 세속화의 과정에는 정치, 역사적 차원에서 교회와 국가의 분리, 세속의 모든 영역으로부터의 교회 영향력 축소 혹은 배제가 있고, 철학적 차원에서는 신학적 및 교회적 영향에서 벗어나 세속적 철학과 윤리학을 지향하는 운동이 있다. 이렇게 그리스도교와 사회의 대립을 기반으로 한 그리스도교로부터의 해방과 배제라는 세속화가 있는 반면, 세속 안으로 종교를 가져와 생겨난 자본주의가 결과적으로는 그것을 가능케 한 종교적 언급으로부터 해방되는 세속화도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신앙과 그 실천의 쇠퇴 현상으로서의 세속화, 나아가 세계를 그 내적 가치 체계만으로 폐쇄적 방식으로 이해하려 하고, 인간과 사회의 절대적 자율성을 주장하며, 초월적 가치를 배제하는 것에서 나아가 그것에 대한 무관심 주의를 보이는 세속화도 있다. 한국에서의 그리스도교가 서구사회와 그 상황이 같지 않아, 세속화 양상도 서구의 그것과 동일하지는 않다. 그러나 최근 물질적 풍요를 비롯하여 세계 내적 가치 체계에만 집중하고, 종교무관심주의가 확장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도 세속화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세속화된 사회 안에서 구원의 성사로서의 교회를 실현하기 위하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의 세속과 세속적 특성에 대한 이해, 그리고 세속주의에 대한 대응을 살펴보았다. 공의회는 세속을 창조와 구원, 종말론적 완성의 전망 안에서 보았으며, 인간과 세상의 자율성을 인정하되, 배타적 자율성을 주장하는 세속주의와 달리, 창조와 육화, 종말론적 완성에 기초하여 상대적 자율성을 선언한다. 공의회 이후에는 이 관점을 발전시켜 육화의 신비에 기초하여 평신도들의 고유한 특성으로 규정된 세속적 특성을 교회 차원에까지 확대하였다.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인간과 세상을 구원하시고 완성하신 것처럼, 교회 자신도 끊임없이 세상 안에 육화해야 하고, 세속이 하느님이 이끄실 완성에 도달하도록 봉사해야 한다. 이것이 곧 세상의 성화이다. 교회는 구원의 대상인 인간의 본질에 세속적 특성이 내재해 있음을 주목하면서 세속적 특성을 가진 이 인간이 교회가 걸어야 할 길이라고 선언한다. 이 길에서 교회는 자신의 본질적 사명인 하느님과의 친교, 그리고 사람들 사이의 친교의 가치, 곧 이 친교 안에 인간의 성장과 충만함이 있음을 증거해야 한다. 그리고 그에 적합한 길은 삼위일체 하느님 안에서 그 근원과 모범을 발견하는 시노달리타스의 실현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at synodality is a suitable way to realize the Church as the universal sacrament of salvation in the secularized Korean society. First, the concepts of secularization, secularism, and secularity are considered. The process of secularization emcompasses several dimensions. In the political-historical aspect, it involves the separation of the Church from the society and the state, as well as the exclusion of the Church from all secular realms. In the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aspect, it pertains to the movement toward secular philosophy and education, which excludes any theological and ecclesiastical influence. In addition to this tendency of secularization arising from the opposition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there is another form of secularization that resulted from certain branches of Christianity supporting worldly affairs related to profit, which gave rise to capitalism. Ultimately, however, this economic and political system has become detached from any religious reference. Recently, there are some forms of secularization such as the decline in faith and religious practice, the focus on immanent value system that excludes all that is transcendent, the indifference to religious matters or questions, and the affirmation of the absolute autonomy of individuals and society. The phenomenon of secularization in Korea is not exactly the same with that of the western world, as the situation of Christianity in Korea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West. However, certain tendencies in Korea, such as the excessive emphasis on material well-being, an exclusive focus on immanent values, and religious indifference, allow us to consider the Korean society as being in the process of seculariz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Church as the universal sacrament of salvation in this secularized society, this study takes its starting point from the teachings of Vatican Council II, which confronted the challenges of secularization and secularism, even though it did not explicitly use these terms. The Council viewed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on, salvation, and the eschatological fulfillment, and recognized the relative autonomy of humans and society, in contrast to secularism, which insists on the absolute autonomy. After the Council, this perspective was further developed in Church documents, recognizing the secular characteristics - which is different from secularity - of lay people within the ecclesiastical dimension, on the basis of the mystery of the Incarnation. Just as the Word of God became flesh and redeemed the world, the Church should also be incarnated in the world and work for the eschatological fulfillment of the world, which will be accomplished by God. The Catholic Church, acknowledging that secular characteristic is inherent in the human nature, affirms that the human himself, with this characteristic, is the way for the Church. Along this way, the Church should bear witness to the fact that true human development and fulfillment are found in communion with God and with another. And, a suitable way to achieve this is through synodality, the foundation and model of which is the Trinitarian God.
목차
1. 서론
2. 한국사회, 지금 여기
3. 세속화
4. 세속화를 마주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5. 세속에서 구원의 성사 실현의 길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 ‘구원의 유일한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연구의 평가와 전망 - 아시아와 한국의 상황을 중심으로
- 세속화된 사회 안에서 구원의 성사 실현의 길, 시노달리타스
- L’unité et la distinction des missions du Fils et de l’Esprit-Saint dans la christologie pneumatologique chez Yves Congar
- [번역] 섭리와 고통에 관한 아퀴나스의 가르침
- [서평] 마우리치오 코스타 저『사제 정체성과 양성 사이: 사제 영성에 관하여』
- 개신교 구원관
- 에덴 동산 이미지와 회복으로서의 구원
- 영성철학이란 무엇인가? - 피에르 아도(Pierre Hadot)의 고대철학을 중심으로
- 펠라기우스 논쟁과 아우구스티누스의 구원관
- 이브 콩가르의 성령론적 그리스도론에서 성자와 성령의 파견의 일치와 구별성
- 과학 시대의 신학, 그리스도교의 구원론은 여전히 정당한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