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학 시대의 신학, 그리스도교의 구원론은 여전히 정당한가?
이용수 0
- 영문명
- Theology in the Scientific Era: Is Christian Soteriology Still Valid?
- 발행기관
- 신학과사상학회
- 저자명
- 송용민(Yongmin Song)
- 간행물 정보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No.91, 265~314쪽, 전체 5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8,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간은 물리적 세계에서 피할 수 없는 신체적 위험과 심리적 불안, 관계의 단절에서 오는 절망과 상처, 미지의 시간과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에서 오는 죽음과 공포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구원은 인간의 유한한 본성에서 근거하는 ‘한계 체험’으로부터 해방과 자유, 평화와 행복, 치유와 승리에 대한 희망의 종교적 언어이다. 계시 종교인 그리스도교는 인간 구원이 인간 스스로 이룰 수 없는 초월적 사건이며, 진리와 생명의 주인이신 창조주 하느님으로부터 온다는 신뢰에 바탕을 둔 종교이다.
오늘날 구원에 대한 전통적인 신념과 종교적 확신이 흔들리고 있다. 인간의 종교심의 근간을 흔들어 ‘신 없는 세상’ 혹은 인간 구원의 고유한 영역인 종교의 자리를 대체하는 과학만능주의가 만들어낸 과학적 무신론의 우상 때문이다. 또한 과학적 무신론의 근간을 형성하는 환원주의, 곧 종교의 전유물처럼 여겨져 온 인간 정신 현상들, 사랑, 영혼, 의미 등의 인간 내면의 가치들이 뇌과학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더 이상 계시하시는 하느님, 곧 초월의 신(神)이 아닌 ‘물질’로부터 유래한다는 ‘물질환원주의’의 도전 때문이다.
과학적 사유의 절대화는 그리스도교가 주장해온 구원에 대한 현대인의 체험에 커다란 도전이 되고 있다. 그리스도교는 인간의 비참한 현실 체험, 곧 죄의식과 고통이라는 인간의 본성적 체험과 죽음이라는 불가피한 현실 인식을 극복하려는 종교적 신념을 ‘구원’이라는 단어로 표현해왔다. 이 구원은 인간의 자력을 통한 현실 극복의 실체가 아닌, 초자연적 실재, 곧 하느님으로 고백하는 신의 계시(啓示)를 통해 주어진 은총의 현실태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21세기 과학 시대의 흐름 속에서 그리스도인이 찾는 구원은 여전히 유효한가? 과학이 종교적 신념을 폄훼하고, 신앙을 과학의 논리로 풀어내려는 요청들 속에서 ‘그리스도의 구원 사건’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체험은 여전히 자기 정당성을 요청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가? 그리스도교가 과학의 언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새로운 구원의 언어는 없는가? ‘구원’을 둘러싼 인간학적 현실 인식의 중심에 있는 과학의 언어와 신학의 언어는 대립을 넘어 서로 대화할 수 있는 해석학적 기점들이 존재한다.
첫째는 하느님의 창조는 피조물을 향한 신의 자기 제약이라는 구원 행위와 연결되어 있다. 이는 과학이 밝혀낸 불확정성의 원리와 피조물에게 주어진 자율성이 하느님의 육화와 강생의 신비에서 드러나듯, 자기 스스로를 제약함으로써 나타난 사랑의 행위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는 인간의 죄와 죽음을 넘어설 수 있는 초월에로의 희망을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 안에서 찾는다. 이는 과학의 언어로 말하자면, 죄와 죽음은 하느님이 피조물에게 선사한 자율성이 인간과 우주의 진화의 과정에서 숙명처럼 드러난 결과로 여겨진다. 그리스도교의 구원은 피조물이 지닌 한계를 수용한 예수라는 한 개인을 통하여 인류 전체와 우주의 구원이 선포되는 중요한 신학적 기점을 해명한다. 셋째로 우리 시대 피조물의 탄식은 지구 생태계의 위기를 포함하여 인간 영혼과 육신의 이원론을 극복하고, 우주의 총체적 구원을 향한 성령의 역사로 드러난다. 인간은 본능적 감각을 하느님을 향한 초월의 감각으로 승화될 때 본능처럼 주어진 신앙 감각의 회복을 통해 성령께서 이루시는 참된 구원의 체험을 이룰 수 있다.
오늘날 과학과 신학의 대화가 중요한 신학적 과제로 등장하게 된 것은 과학과 신학의 대화를 추구하는 과학신학자 존 폴킹혼(John Polkinghorne)과 이안 바버(Ian G. Barbour) 등의 신학적 노력의 결과이다. 이들의 사상을 토대로 과학 시대 신학의 정당성을 찾고, 전통적인 그리스도교의 구원론을 21세기 과학의 언어를 통하여 새롭게 자리매김할 수 있는 신학적 단초들을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Humans are not free from the physical dangers and psychological anxiety that cannot be avoided in the physical world, the despair and wounds that come from the breakdown of relationships, and the death and fear that come from anxiety about unknown times and an unpredictable future. Salvation is a religious language of hope for liberation and freedom, peace and happiness, healing and victory from the ‘limitation experiences’ based on human’s finite nature. Christianity, the religion of revelation, is based on the trust that human salvation is a transcendent event that cannot be achieved by humans on their own, and that it comes from God the Creator, the owner of truth and life.
Today, traditional beliefs and religious convictions about salvation are being shaken. This is because of the idol of scientific atheism created by scientific omnipotence, which shakes the foundation of human religiosity and replaces religion as a ‘world without God’ or the unique realm of human salvation. In addition, the reductionism that forms the basis of scientific atheism, that is, human mental phenomena that have been considered the exclusive property of religion, and inner human values such as love, soul, and meaning, are no longer revealed to Go; that is, transcendence, based on research results in brain science. This is because of the challenge of ‘water disease reductionism’, which claims that it comes from ‘material’ rather than God.
The absolutization of scientific thinking poses a great challenge to modern people's experience of salvation as advocated by Christianity. Christianity has used the word ‘salvation’ to express its religious belief in overcoming humanity’s miserable experience of reality, that is, the human experience of guilt and pain, and the recognition of the inevitable reality of death. This is because this salvation is not accepted as a reality of overcoming reality through human self-power, but as a supernatural reality, that is, a reality of grace given through the revelation of God confessed as God.
Is the salvation which Christians seek still valid in the scientific era of the 21st century? Amidst the calls for science to denigrate religious beliefs and explain faith through the logic of science, is there still room for the Christian experience of the ‘salvation event of Christ’ to request self-justification? Is there a new language of salvation in which Christianity can harmonize with the language of science? The language of science and the language of theology, which are at the center of recognition of the anthropological reality surrounding 'salvation', are hermeneutical starting points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eyond opposition.
They exist. First, God's creation is connected to the saving act of God's self-limitation toward cre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act of love that appears by limiting oneself, as the principle of uncertainty revealed by science and the autonomy given to creatures are revealed in the mystery of God's incarnation and the Incarnation.
Second, the hope for transcendence that can overcome human sin and death is found in the sacrifice of Jesus Christ on the cross. To put it in the language of science, sin and death are seen as the result of the autonomy given by God to creation, revealed as fate in the process of evolution of humans and the universe. Christian salvation explains the important theological starting point in which the salvation of all humanity and the universe is proclaimed through one Being, Jesus, who accepted the limitations of creation.
Third, the sighs of creation in our time are revealed a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oward the overall salvation of the universe, overcoming the dualism of the human soul and body, including the crisis of the Earth's ecosystem.
목차
1. 주제 설정
2. 과학의 시대, 물질 환원주의와 과학적 무신론의 도전
3. 그리스도교 구원론의 다양한 차원들에 대한 재해석
4. 결론: 과학 시대의 신학, 우리는 어떻게 구원받는가?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 ‘구원의 유일한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연구의 평가와 전망 - 아시아와 한국의 상황을 중심으로
- 세속화된 사회 안에서 구원의 성사 실현의 길, 시노달리타스
- L’unité et la distinction des missions du Fils et de l’Esprit-Saint dans la christologie pneumatologique chez Yves Congar
- [번역] 섭리와 고통에 관한 아퀴나스의 가르침
- [서평] 마우리치오 코스타 저『사제 정체성과 양성 사이: 사제 영성에 관하여』
- 개신교 구원관
- 에덴 동산 이미지와 회복으로서의 구원
- 영성철학이란 무엇인가? - 피에르 아도(Pierre Hadot)의 고대철학을 중심으로
- 펠라기우스 논쟁과 아우구스티누스의 구원관
- 이브 콩가르의 성령론적 그리스도론에서 성자와 성령의 파견의 일치와 구별성
- 과학 시대의 신학, 그리스도교의 구원론은 여전히 정당한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