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성철학이란 무엇인가? - 피에르 아도(Pierre Hadot)의 고대철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1
- 영문명
- What Is the Spiritual Philosophy?
- 발행기관
- 신학과사상학회
- 저자명
- 이향만(Hyangman Lee)
- 간행물 정보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No.91, 315~35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대 철학에 대한 실천적 이해를 이끈 선각자라고 할 수 있는 피에르 아도(Pierre Hadot 1922-2010)는 고대 철학이 단순한 지성적 활동이 아니라 실존적 선택을 위해 삶의 지혜를 추구하는 생활양식에 대한 ‘영성훈련’을 추구한 영성철학이었음을 밝히고 있다. 플라톤 대화록에서 볼 수 있듯이 고대의 철학적 담론은 알림(inform)에 있다기 보다는 형성(form)에 지향성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었다.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는 철학을 통해 사람들을 형성(form)하고 영혼을 변화(transform)시키려 하였다. 그들의 철학적 가르침은 무엇보다 구술 형태로 주어졌다. 왜냐하면 대담 안에서 살아있는 언어만이 오로지 기대된 행동을 성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철학적 스승의 담론은 제자들을 정신적으로 발전시키고 내적으로 변화시키는 점에서 영성훈련(exercises spirituels)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철학적 담론은 실천과 대립되는 이론이 아니라 생활양식의 한 부분이다. 이 점에서 고대 철학은 담론이자 생활양식이다. 나아가 담론이 청중이나 독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점에서 실천적인 면이 있으므로 이론적(théorique)이기보다 정관(靜觀的 théorétique)이다. 즉 철학자들은 말하고 토론하는 방법뿐만이 아니라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알도록 훈련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철학의 훈련은 지성적일 뿐만이 아니라 영성적이다. 따라서 철학의 교육과 훈련은 단순히 제자의 지성을 발달시키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의 존재의 본성적인 모든 면을 변형시키는 데에 있다. 그것의 목적은 다름 아닌 삶의 예술이며 그러한 영성훈련은 철학적 삶을 사는 방법의 훈련이었다.
지혜로 나아가는 생활양식으로서 영성훈련이 갖는 고대 철학의 특징을 이론과 실천의 통합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아도의 통찰력은 이론적이고 분석적이며 사변적 경향이 있는 현대 철학의 문제를 극복하는데 새로운 계기를 주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철학이 교육과 분리될 수 없는 본질적인 통합성을 보여준다. 또한 과학 기술의 학문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바가 무엇인지 시사하고 있다. 또한 이론과 실천을 통합하는 철학적 방법론의 관점에서 뿐만이 아니라 본성론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영성을 이해하는 것은 근대 철학의 관점을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길임을 기대할 수 있겠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 철학의 본령으로서 영성철학에 관하여, 3장에서 자연철학에 나타난 영성의 존재론적 접근: 피타고라스와 데모크리토스, 4장에서 가치 인식과 실현으로서 철학적 삶: 소크라테스의 영성담론, 5장에서 대화의 윤리학으로서 영성훈련: 플라톤의 변증술, 6장에서 초월적 행복 추구로서 영성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관적 삶에 대하여 살펴보고 있다.
영문 초록
Pierre Hadot (1922-2010), a pioneer of practical understanding of ancient philosophy, has argued that ancient philosophy is not a mere intellectual activity but a 'spirituality training' for lifestyle pursuing wisdom for existential choice, the philosophy of spirituality. As we can see in Plato’s Dialect, ancient philosophical discourse has a tendency to form rather than to inform. This tendency was closely related to education. Sophist and Socrates attempted to form human beings and transform souls through philosophy. Their philosophical teachings, above all, were given in a form of dialogue. This is because only the words alive in dialogue can achieve the expected behavior. The discourse of philosophical masters takes the form of exercises spirituels in terms of spiritual development and inner change of the disciples. Philosophical discourse is not a theory that conflicts with practice, but a part of lifestyle. In this regard, ancient philosophy is a discourse and a lifestyle. Furthermore, discourse has a practical aspect in that it influences audiences and readers, so it is more theoretical (théorétique) rather than theorical (théorique). In other words, philosophers need to be trained not only to talk and discuss, but also to know how to live. Therefore, the training of philosophy is spiritual as well as intellectual. So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philosophy is not merely to develop the intelligence of the disciple, but to transform every aspect of his being. Its purpose is the art of life, and such spiritual training was training in the way of living a philosophical life.
Hadot's insight into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philosophy of spiritual discipline as a wisdom lifestyle from the point of view of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gives a new momentum to overcome the problems of modern philosophy which has a theoretical, analytical and speculative tendency. This view shows the intrinsic integrity that philosophy cannot be separated from education. It also suggests what the sci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should ultimately aim for. It can be expected that understanding human spirituality from the viewpoints of not only philosophical methodology that integrates theory and practice but also the theory of Human Nature is a new way of illuminating the viewpoint of modern philosophy. For this purpose, Chapter 2 deals with the philosophy of spirituality as the essence of philosophy; Chapter 3 deals with the ontological approach to spirituality in natural philosophy: Pythagoras and Democritus; Chapter 4 deals with the philosophical life as recognition and realization of value: Socrates' discourse on spirituality; Chapter 5 deals with the training of spirituality as the ethics of dialogue: Plato's dialectic, and Chapter 6 deals with the philosophy of spirituality as the pursuit of transcendental happiness: Aristotle's contemplative life.
목차
1. 서론
2. 철학의 본령으로서 영성철학
3. 자연철학에 나타난 영성의 존재론적 접근: 피타고라스와 데모크리토스
4. 가치인식과 실현으로서 철학적 삶: 소크라테스의 영성담론
5. 대화의 윤리학으로서 영성 훈련: 플라톤의 변증술
6. 초월적 해복 추구로서 영성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관적 삶
7. 결론: 철학과 철학 담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 ‘구원의 유일한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연구의 평가와 전망 - 아시아와 한국의 상황을 중심으로
- 세속화된 사회 안에서 구원의 성사 실현의 길, 시노달리타스
- L’unité et la distinction des missions du Fils et de l’Esprit-Saint dans la christologie pneumatologique chez Yves Congar
- [번역] 섭리와 고통에 관한 아퀴나스의 가르침
- [서평] 마우리치오 코스타 저『사제 정체성과 양성 사이: 사제 영성에 관하여』
- 개신교 구원관
- 에덴 동산 이미지와 회복으로서의 구원
- 영성철학이란 무엇인가? - 피에르 아도(Pierre Hadot)의 고대철학을 중심으로
- 펠라기우스 논쟁과 아우구스티누스의 구원관
- 이브 콩가르의 성령론적 그리스도론에서 성자와 성령의 파견의 일치와 구별성
- 과학 시대의 신학, 그리스도교의 구원론은 여전히 정당한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