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원의 유일한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연구의 평가와 전망 - 아시아와 한국의 상황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Evaluation and Prospects for the Study of ‘Jesus Christ as the Sole Mediator of Salvation’ : Focusing on the Context of Asia and Korea
- 발행기관
- 신학과사상학회
- 저자명
- 한민택(Mintaeg Han)
- 간행물 정보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No.91, 50~112쪽, 전체 6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10,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왜 그리스도는 구원의 유일한 중보자인가?” 본고에서는 이 물음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이에 답하고자 한다.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 중개의 유일성과 보편성에 대한 그리스도 신앙의 일관된 신앙 고백은 현대의 다종교 상황과 종교 간 대화(interreligious dialog)에서 갈등을 야기한다. 본고에서는 이 진술을 단순히 호교론적으로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위 물음의 신학적 정위(正位)에 관해 묻고 아시아와 한국의 고유한 맥락에서 새롭게 문제 제기하며, 그에 대한 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가톨릭교회가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기점으로 타종교에 대해 취해 온 입장의 변화와 이에 따른 신학의 문제 제기의 변천 과정을 소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종교 간 대화의 맥락에서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 중개의 유일성과 보편성 문제에 대한 교회의 공식 입장과 신학의 다양한 시도들 그리고 문제의 현주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아시아 상황 특히 한국의 종교적 상황에서 종교 간 대화 문제와 종교 다원주의 문제가 어떻게 제기되는지 고찰하며 그 특수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종교 상대주의와 혼합주의 그리고 ‘종교적 이중 소속’(religious double belonging) 문제 앞에서 토착화(inculturation)와 종교 간 대화를 어떻게 이루어나가야 할지 방향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특별히 ‘자연적 신 인식’(natural knowledge of God)이라는 개념에 관한 최근의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해법을 마련하고자 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아시아의 다종교 상황에서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유일성과 보편성을 새롭게 제시할 탈출구를 공감(empathy)과 컴패션(compassion)으로 이해되는 자비(mercy, misericordia)에서 찾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특별히 카스퍼 추기경의 자비의 신학과 키넌의 연약함(vulnerability)에 대한 신학적 숙고에 의존할 것이다. 이를 통해 연약함으로 확장되어 이해된 자비가 어떻게 다종교 상황에서 그리스도 신앙 정체성을 새롭게 하고 타종교와 대화 및 만남을 촉진하며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한 여정에 참여(투신)하도록 촉구하는지 밝힐 것이다. 나아가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유일성과 보편성이 타종교와 대화를 막거나 혼합주의로 빠지지 않고 건전하고 비판적인 관계를 수립하도록 하는지 밝히고자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자비 사목에 대한 고찰은 본고의 가정을 검증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Why is Christ the sole mediator of salvation?”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is question and probe an answer. The consistent profession of Christian faith regarding the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salvation mediated through Christ leads to tensions in the context of the contemporary multi-religious environment and inter-religious dialogue. This paper does not merely defend this statement from an apologetic perspective but intends to critically examine the theological positioning of the question, highlight new issues arising from the unique contexts of Asia and Korea, and explore potential answers.
First, this paper outlines the changes in the Catholic Church's attitudes toward other religions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 along with the evolving theological questions that have emerged thereof. This allows us to have a close look at the Church's official position on the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salvation through Christ, explore various theological efforts, and assess the current state of the issue in the context of inter-religious dialogue.
Next, this paper examines how the issues of inter-religious dialogue and religious pluralism arise in the religious context of Asia, particularly in Korea, and intends to identify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is to explore the ways to navigate inculturation and inter-religious dialogue in the face of challenges such as religious relativism, syncretism, and 'religious double belonging.' Specifically, this paper proposes new solutions by examining recent studies on the concept of ‘natural knowledge of God.’
The final chapter proposes a new way of presenting the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salvation through Christ within Asia's multi-religious context, using the concept of mercy (misericordia), which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empathy and compassion. This chapter particularly draws on Cardinal Kasper's theology of mercy and Keenan's theological reflections on vulnerability. It shows how mercy, understood in terms of vulnerability, can renew Christian identity in a multi-religious context, promote dialogue and encounter with other religions, and inspire participation in the journey toward a better world. Furthermore, it seeks to clarify how the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salvation through Christ can establish a healthy and critical relationship with other religions without preventing conversations with them or resorting to syncretism. A reflection on Pope Francis' pastoral approach to mercy provides an opportunity to clarify the assumption presented in this paper.
목차
1. 서론
2. 공의회 이후 논쟁의 흐름과 잠정적 결론
3. 아시아 맥락에서 종교 간 대화와 그리스도 구원의 유일성과 보편성
4. 자비의 신학과 사목
5. 결론을 대신하여: 자비로 구원하시는 하느님을 증언하는 교회를 위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 ‘구원의 유일한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연구의 평가와 전망 - 아시아와 한국의 상황을 중심으로
- 세속화된 사회 안에서 구원의 성사 실현의 길, 시노달리타스
- L’unité et la distinction des missions du Fils et de l’Esprit-Saint dans la christologie pneumatologique chez Yves Congar
- [번역] 섭리와 고통에 관한 아퀴나스의 가르침
- [서평] 마우리치오 코스타 저『사제 정체성과 양성 사이: 사제 영성에 관하여』
- 개신교 구원관
- 에덴 동산 이미지와 회복으로서의 구원
- 영성철학이란 무엇인가? - 피에르 아도(Pierre Hadot)의 고대철학을 중심으로
- 펠라기우스 논쟁과 아우구스티누스의 구원관
- 이브 콩가르의 성령론적 그리스도론에서 성자와 성령의 파견의 일치와 구별성
- 과학 시대의 신학, 그리스도교의 구원론은 여전히 정당한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