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라 外司正에 대한 종합적 고찰
이용수 30
- 영문명
-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Silla Oesajŏng(外司正)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홍기승(Ki Seung Hong)
- 간행물 정보
- 『역사문화연구』제92집, 41~7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신라 외사정의 설치와 운영 방식, 직무 내용과 신라 지방지배에서 가지는 의미 등을 검토한 것이다. 외사정은 지방관으로 州郡마다 각각 2인, 1인씩 파견되었으며, 기본적으로 郡級 단위를 담당하였다. 이들은 州郡에 상주하며 업무를 수행하였고 기본적으로 都督, 太守의 지휘를 받았다.
외사정은 唐의 州·縣에서 감찰을 담당한 錄事參軍·主簿 계열의 지방관직을 典範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지방행정단위 내부에서 행정 전반을 살피고 문제를 예방하는 데 용이하였다. 신라도 같은 형태의 지방 감찰 체계를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외사정을 설치하였다고 할 수 있다.
외사정의 직무는 司正府와 당의 사례를 통해 유추해 보았다.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직무는 지방 관원과 행정에 대한 감찰로, 문서행정에 대한 감독이 일반적인 감찰 방식이었을 것이다. 또한 외사정은 사법 관련 업무를 처리하였다고 추정되며, 그밖에 州郡의 지방 행정에서 여러 업무를 주관하였을 것이다.
외사정의 주된 감찰 대상은 地方官司에서 지방행정 실무를 담당하던 재지유력층이었다. 신라는 이들의 자율성과 영향력을 축소하여 지방지배를 강화하고자 외사정이라는 새로운 제도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中代의 郡은 행정 체계상 명실상부한 縣의 상급 지방행정단위로서 기능하였는데, 외사정은 郡縣 간 엄격한 상하 지휘·감독 체계의 구축을 목표로 도입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illa Oesajŏng(外司正, Officials inspecting local administration)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its duties, and its significance in Silla local governance. The Oesajŏng were local officials, dispatched two for each Ju(州, province) and one for each Gun(郡, county), and were basically in charge of the Gun-level units. They were stationed in the Ju and Gun and were under the command of the Dodok(都督, the chief of Ju) and Taesu(太守, the chief of Gun).
Oesajŏng seems to have been modeled after the Lushicanjun(錄事參軍, Administrative Supervisor) and Zhubu(主簿, recorder) line of local officials in charge of inspections in the Zhou(州, county) and Xian(县, prefecture) of the Tang dynasty. Being inside the local administrative unit made it easier for them to supervise entire administration and prevent problems. Silla also set the same type of local inspection system as the basic direction and established Oesajŏng.
Oesajŏng's duties were inferred from the cases of the Sajŏngbu(司正府, Department of Inspection) and the Tang dynasty.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duties of Oesajŏng were to inspect the officials and local administrations. Supervision of the document administration process of the local administrative units would have been a common form of inspection. It is also believed that Oesajŏng handled various judicial affairs and managed a variety of tasks.
Oesajŏng's main targets of inspection were the class with indigenous influence, who were in charge of administration at local government offices. Silla designed a new system called Oesajŏng to strengthen local control by reducing their autonomy and influence. Next, Gun functioned as the superior local administrative unit to Hyŏn(縣, prefecture) in administrative system in the middle period. It can be said that Oesajŏng was introduced to establish a strict command and supervision system between the Gun and Hyŏn.
목차
Ⅰ. 머리말
Ⅱ. 외사정의 설치와 운영
Ⅲ. 외사정의 직무
Ⅳ. 신라의 지방지배체제 정비와 외사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06년 천도교와 일진회의 분리 과정 재고찰
- 조영무(趙英茂)의 정치활동과 위상
- 광개토왕릉비 무훈기사의 서술항목과 서사구조
- 신라 外司正에 대한 종합적 고찰
- 무관심과 관심의 경계 : 조선에서 궁예와 그의 나라를 기억하는 양면적 방식들
- 『黨議通略』 필사본 연구
- 상해 임시정부와 의친왕: 구황실 조항과 의친왕의 ‘탈국’ 사건을 중심으로
- 1954년 이승만의 방미외교와 초기 한미동맹
- 일본 해군 제독 도고 헤이하치로의 넬슨-이순신 비교 발언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서평] 육영수, 『근대 한국학의 뿌리와 갈래. 서양 선교사, 일본 관학자, 조선 지식인을 연결하기 또는 다시 뒤섞기』 (돌베개, 2024)
- 설립자가 있는 광주 <고려인마을> 공동체의 발전 단계별 특성과 한계
참고문헌
- 지식산업사
- 서울대학교출판부
- 一潮閣
- 一潮閣
- 삼인
- 一志社
- 一志社
- 주류성
- 학연문화사
- 신서원
-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 藤田先生記念事業会
- 吉川弘文館
- 勉誠出版
- 大修館書店
- 聯經出版事業公司
- 上海古籍出版社
- 上海古籍出版社
- 上海古籍出版社
- 商务印书馆
- 科学出版社
- 天津古籍出版社
- 商务印书馆
- 新羅史學報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國史館論叢
- 韓國史硏究
- 啓明史學
- 東洋史學硏究
- 東國史學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學林
-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한국사9-통일신라
- 歷史學報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국고대사연구
- 사학연구
- 歷史學 報
- (송기호 교수 정년기념논총) 한국고대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 사학연구
- 朝鮮学報
- 文献
- 绥化学院学报
- 江西社会科学
- 唐史论丛
- 文史哲
- 江西社会科学
- 中国政法大学学报
- 厦门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
- 厦门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
- 福建师范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