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별 학생의 한글 CBM 기울기 추정: 베이지안 사전확률 분포의 활용
이용수 36
- 영문명
- Estimating the Korean CBM Slope for Individual Students: Utilizing Bayesian Prior Distribution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여승수(Seungsoo Yeo)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3호, 139~15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개별 학생의 읽기 성취도를 측정하는 교육과정중심측정(CBM)에서 베이지안 사전확률분포를 활용한 기울기 추정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기존의 최소제곱추정법(OLS)은 CBM 연구에서 널리 사용됐으나, 데이터가 제한적이거나 이상치에 영향을 받으면 불안정한 추정치를 산출할 위험성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관련 연구에서 도출된 사전 정보를 반영하는 베이지안 추정법이 OLS보다 더 신뢰성 높은 기울기 추정치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한국의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읽기 CBM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 추정법의 정확도를 평균제곱근오차(RMSE)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 베이지안 추정법이 특히 읽기 부진 학생 집단에서 OLS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또한, 강한 사전확률분포를 적용할수록 안정적인 기울기 추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중재 전략의 효과를 평가할 때보다 신뢰성 높은 자료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데이터 수집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명한 베이지안 방법은 교육 현장에서 개별 학생의 진전도를 면밀히 분석하고 중재 전략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Bayesian prior distributions in estimating the slope of individual students’ reading progress using Curriculum-Based Measurement (CBM). While traditional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is commonly employed in CBM research, it often yields unstable estimates, particularly when data points are limited or influenced by outliers.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Bayesian estimation can provide more reliable slope predictions compared to OLS by incorporating prior information from relevant studies. Using Korean first-grade students’ reading CBM data, we compare the accuracy of the two methods through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nalysis. The findings reveal that Bayesian estimation consistently outperforms OLS, especially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ndicating that stronger prior distributions yield more stabl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practitioners include improved decision-making regard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reduced data collection efforts. This study underscores the potential of Bayesian methods to enhance the precision of individual progress monitoring in educational setting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베이지안 이론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 의
Ⅵ. 학습장애 학생의 진전도 모니터링 수행 시 교육적 시사점
Ⅶ. 연구 제한점 및 향후 연구 주제
Ⅷ.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9권 제3호 목차
- 근거이론에 기반한 어린이집 교사의 장애 위험 영유아 지원에 관한 연구
- 국내 특수학교 교명의 어종, 의미 구조 및 어원 분석에 관한 연구
- 중·고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 경험과 교육적 요구에 대한 탐색
- 청소년 및 성인 초기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장생활 관련 사회성 기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발달장애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개별 학생의 한글 CBM 기울기 추정: 베이지안 사전확률 분포의 활용
- 저시력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일반학교와 특수학교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가상조작물-추상기호의 통합된 순차적 교수가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연산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직장 내 디지털 금융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사원의 금융역량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 학습장애연구
- 학습장애연구
- 서울
- 특수교육연구
- 학습장애연구
- 특수교육학연구
- 학습장애연구
- 학습장애연구
- 특수교육학연구
- The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 Exceptional Children
-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 Health Psychology Review
-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 Guilford Publications
-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 Amsterdam
-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 School Psychology Review
- Assessment for Effective Intervention
- Exceptionalit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 Assessment for Effective Intervention
- School Psychology Review
-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 Psychological Methods
- School Psychology Review
-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논총 제39집 목차
- 재한 중국 유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학생의 심리적 독립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