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외모지향성이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 화장인식도의 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3
- 영문명
- The Effect of Appearance Orient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on Makeup Behavior: Verification of Mediated Effect of Makeup Awarenes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하정(Ha-Jeo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5권 제4호, 263~27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makeup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orientation and make-up behavior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in the current era when make-up behavior is common, and as a result, first, the higher the appearance interest and body shape interest,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appearance orientation, the higher the makeup aware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est in appearance, the higher the makeup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awareness of makeup, the higher the cremation behavior. Fourth, the subvariables of appearance orientation, such as appearance interest, body shape interest, and makeup awareness on makeup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nalyz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that instill cultural and social awareness of true beauty, increase self-confidence through makeup behavior, and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내용 및 방법
Ⅳ.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시대 트레머리를 모티브로 한 현대 업스타일 디자인 개발
- 헤어디자이너의 급여수준과 자기유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주름 개선 기능성화장품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및 고객신뢰에 미치는 영향
- 헤어미용인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의 비교 : 브랜드헤어숍과 일반헤어숍의 중심으로
- 직장인의 뷰티관심도와 소비가치관이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 여성들의 외모지향과 뷰티관심도 연구
- 미용종사자의 직무적합성이 조직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를 활용한 뷰티 융합교과목 개발연구
- 숏폼 시청동기가 뷰티 샵의 서비스 편익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 어택 이후 화장품 용기 분리배출 현황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평균 차이 분석
- 미용 교육 과정의 색조 메이크업 일러스트 표현 연구 : 계절별 컬러를 중심으로
- 기능성 화장품 표시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광고 태도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군자 모티브 이미지를 적용한 아트마스크 작품연구 : 딥 레진 아트(Dip Resin Art)기법을 활용
- 워터 브리딩 테라피 마사지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헤어커트스타일에 따른 이미지스케일 연구 : 20~30대 미용종사자 중심으로
- 미용학과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외모지향성이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 화장인식도의 매개효과 검증
- 액티브시니어의 경제활동이 뷰티헬스케어행동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종사자의 작업환경, 직무요구, 프리젠티즘 및 이직의도 간 영향관계 분석
- 중국 고대 립 메이크업의 기호화 특징 및 그 문화상징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경희대학교
- 건국대학교
- 인체미용예술학회지
- 아시안뷰티 화장품학술지
- 한국가정교육학회지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 한국식품영양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대구가톨릭대학교
- 대한피부미용학회지
- 한국미용학회지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성신여자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한국화장품미용학회
- 경희대학교교육대학교
- 복식문화연구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서경대학교 대학원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한국CRM학회
- 전남대학교 대학원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성신여자대학교 생애복지대학원
- 차의과학대학교 보건산업대학원
- 동신대학교 대학원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한복문화학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