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성형 AI를 활용한 뷰티 융합교과목 개발연구
이용수 33
- 영문명
- Integrating Generative AI into Beauty Education: Developing a Convergenc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문서영(Seo-Yeong Moon) 김연아(Yeon-A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5권 제4호, 123~14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reate a curriculum that combines generative AI with special effects makeup and integrate it into major courses. This approach will help students enhance their special effects makeup skills,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design processes, and explore the creative possibilities of AI image generation technology. Additionally, the curriculum will offer students hands-on experience with special effects makeup simulations and 3D modeling programs in VR environments for a more immersive learning experience. To evaluate the potential impact of this curriculum on the beauty industry, the study will examine students' motivation, engagement, satisfaction, and their experiences with the EdTech environ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enerative AI and EdTech courses provided an outstanding sense of realism through VR simulations and were evaluated as offering a fresh and innovative experience. The findings confirm a high potential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industry, highlighting the need to integrate EdTech into special effects makeup courses. It is anticipated that EduTech convergence courses, which blend generative AI with beauty major courses, will reveal significant learning outcomes and possibilities. These courses are expect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talents with creative and integrative thinking, as well as problem-solving skills. Continue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onvergent curricula using digital technologies in beauty education will further support this goal.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뷰티 융합 교과목 개발
Ⅳ. 에듀테크 전공수업의 학습동기가 학습몰입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시대 트레머리를 모티브로 한 현대 업스타일 디자인 개발
- 헤어디자이너의 급여수준과 자기유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주름 개선 기능성화장품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및 고객신뢰에 미치는 영향
- 헤어미용인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의 비교 : 브랜드헤어숍과 일반헤어숍의 중심으로
- 직장인의 뷰티관심도와 소비가치관이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 여성들의 외모지향과 뷰티관심도 연구
- 미용종사자의 직무적합성이 조직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를 활용한 뷰티 융합교과목 개발연구
- 숏폼 시청동기가 뷰티 샵의 서비스 편익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 어택 이후 화장품 용기 분리배출 현황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평균 차이 분석
- 미용 교육 과정의 색조 메이크업 일러스트 표현 연구 : 계절별 컬러를 중심으로
- 기능성 화장품 표시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광고 태도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군자 모티브 이미지를 적용한 아트마스크 작품연구 : 딥 레진 아트(Dip Resin Art)기법을 활용
- 워터 브리딩 테라피 마사지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헤어커트스타일에 따른 이미지스케일 연구 : 20~30대 미용종사자 중심으로
- 미용학과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외모지향성이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 화장인식도의 매개효과 검증
- 액티브시니어의 경제활동이 뷰티헬스케어행동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종사자의 작업환경, 직무요구, 프리젠티즘 및 이직의도 간 영향관계 분석
- 중국 고대 립 메이크업의 기호화 특징 및 그 문화상징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 Smart Learning Environments
- Journal on Education
- International Journal of Data and Network Science
- 컴퓨터 교육학회논문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아시안 뷰티화장품학술지
- 삼정KPMG
- 위키북스
- 제일기획메거진
- 하이 테크정보Data&AI
-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일보
- 한겨례
- BBC코리아
- 다빈치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플랜비디자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s
- 교육⋅녹색환경연구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한국생활과학학회지
- 산업융합연구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경영경제연구
- 평생학습사회
- 교육심리연구
- 아시안 뷰티화장품학술지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