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Z세대 여성들의 외모지향과 뷰티관심도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on Appearance Orientation and Beauty Interest Among Generation MZ Women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오유나(Yu Na Oh) 김주덕(Joo-De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5권 제4호, 85~10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ppearance management orientation and beauty interests of Generation MZ women, who have driven changes and consumer trends in the beauty industry.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Generation MZ women from May 14 to June 15, 2024,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Out of 38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50 were collected, excluding those with inadequate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cross-tabulation, t-tests, one-way ANOVA,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average appearance management orientation was 3.37 out of 5, indicating a moderate level. Second, interest in beauty averaged 3.56 out of 5, reflecting a higher level of engagement. Thir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orientation and beauty interest (p<.001, p<.01, p<.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 the level of appearance management orientation among Generation MZ women increases, their interest in beauty also rises. This indicates that appearance management orientation positively influences beauty interest, emphasizing the psychological motivation of this generation to enhance their appearance.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for marketing and promotional strategies that not only meet MZers’ beauty interests but also encourage their engagement in beauty management practice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시대 트레머리를 모티브로 한 현대 업스타일 디자인 개발
- 헤어디자이너의 급여수준과 자기유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주름 개선 기능성화장품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및 고객신뢰에 미치는 영향
- 헤어미용인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의 비교 : 브랜드헤어숍과 일반헤어숍의 중심으로
- 직장인의 뷰티관심도와 소비가치관이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 여성들의 외모지향과 뷰티관심도 연구
- 미용종사자의 직무적합성이 조직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를 활용한 뷰티 융합교과목 개발연구
- 숏폼 시청동기가 뷰티 샵의 서비스 편익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 어택 이후 화장품 용기 분리배출 현황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평균 차이 분석
- 미용 교육 과정의 색조 메이크업 일러스트 표현 연구 : 계절별 컬러를 중심으로
- 기능성 화장품 표시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광고 태도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군자 모티브 이미지를 적용한 아트마스크 작품연구 : 딥 레진 아트(Dip Resin Art)기법을 활용
- 워터 브리딩 테라피 마사지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헤어커트스타일에 따른 이미지스케일 연구 : 20~30대 미용종사자 중심으로
- 미용학과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외모지향성이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 화장인식도의 매개효과 검증
- 액티브시니어의 경제활동이 뷰티헬스케어행동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종사자의 작업환경, 직무요구, 프리젠티즘 및 이직의도 간 영향관계 분석
- 중국 고대 립 메이크업의 기호화 특징 및 그 문화상징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국제보건미용 학회지
- 한국미용학회지
- 한국미용학회지
-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 한국인구학회지
- 한국 미용 예술경영학회지
-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 동 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지
- 한양대학교 대학원
-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 서경대학교 대학원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한국패션비지니스학회지
- 국제보건미용 학회지
- 기초조형학회지
- 기초조형학회지
- 성신여자대학교 아트디자인대학원
- 한국미용학회지
-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 성신여자대학교 생애복지대학원
- 광주여대학교 일반대학원
-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한복문화학회지
- 한국소비문화학회지
-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제보건미용학회지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