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숏폼 시청동기가 뷰티 샵의 서비스 편익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2
- 영문명
- The Effects of Motivation for Watch Short-form on the Service Benefits of Beauty Shop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최혜진(Hye-Jin Choi) 권오혁(Oh-Hyuk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5권 제4호, 149~16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service benefits and short-form viewing motives of beauty brand shops, to overcome the rapidly changing online marketing environment and realistic cultural delays in offline service stores, and to be used as primary data for the beauty service industry.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from 597 people with experience using mobile beauty short-form content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 29.0. As a result, short-form viewing motives were classified as social motives and personal motives, and service benefits were classified as sub-factors of relationship benefits and functional benefits. Each variable and factor had a positive (+) correlation and were significant at p<.001 level. The short-form viewing motiv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service benefits of offline beauty brand shop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mobile short-form content, customers can obtain a wealth of information and advice from the early stages of the services of offline beauty brand shops.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loyalty through hyper-personalized beauty experience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region and age, an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plan short-form production programs for employees of beauty brand shops. Continuous research is essential for high-use education in university curriculum.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내용 및 방법
Ⅳ. 연구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시대 트레머리를 모티브로 한 현대 업스타일 디자인 개발
- 헤어디자이너의 급여수준과 자기유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주름 개선 기능성화장품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및 고객신뢰에 미치는 영향
- 헤어미용인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의 비교 : 브랜드헤어숍과 일반헤어숍의 중심으로
- 직장인의 뷰티관심도와 소비가치관이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 여성들의 외모지향과 뷰티관심도 연구
- 미용종사자의 직무적합성이 조직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를 활용한 뷰티 융합교과목 개발연구
- 숏폼 시청동기가 뷰티 샵의 서비스 편익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 어택 이후 화장품 용기 분리배출 현황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평균 차이 분석
- 미용 교육 과정의 색조 메이크업 일러스트 표현 연구 : 계절별 컬러를 중심으로
- 기능성 화장품 표시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광고 태도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군자 모티브 이미지를 적용한 아트마스크 작품연구 : 딥 레진 아트(Dip Resin Art)기법을 활용
- 워터 브리딩 테라피 마사지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헤어커트스타일에 따른 이미지스케일 연구 : 20~30대 미용종사자 중심으로
- 미용학과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외모지향성이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 화장인식도의 매개효과 검증
- 액티브시니어의 경제활동이 뷰티헬스케어행동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종사자의 작업환경, 직무요구, 프리젠티즘 및 이직의도 간 영향관계 분석
- 중국 고대 립 메이크업의 기호화 특징 및 그 문화상징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 한양법학(漢陽法學)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한국미용학회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미용예술경영 연구
- 미용예술경영연구
- Інтегровані комунікації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광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Journal of Asia Business Studies
- 창신대학교 특수대학원
- 방송문화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The uses of mass communications -Currents perspective on gratifications research
- Cag University Journal of Social Sciences
-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 한국광고홍보학보
- KHIDI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Consumer behavior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 Cor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rly
- International Journal of Bank Marketing
-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 한국미용학회지
- 영산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 한국심리학회 지: 소비자⋅광고
- 한국전자 거래학회지
- Journal of Marketing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 한국언론학보
- 관광연구저널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