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헤어미용인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의 비교 : 브랜드헤어숍과 일반헤어숍의 중심으로
이용수 10
- 영문명
- Comparison of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among Hairstylists: Focusing on chain hair salons and standard hair salon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노인선(In Sun No)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5권 제4호, 51~6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ompare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among hairstylists. To accomplish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hairdressers from both chain and independent beauty salons in Seoul and Gyeonggi-do between June 1 and June 30, 2024. A total of 563 completed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alysis (χ²), independent samples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with SPSS 20. All tests were conducted at a 5% significance level. For hairstylists at chain salons, the average (± standard deviatio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scores were 3.80 (± 0.517) and 3.25 (± 0.603) respectively. For those at standard hair salons, the scores were 3.62 (± 0.409) and 3.15 (± 0.567) each. The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levels at branded salons were higher than those at non-branded salon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lthough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the degree of correlation was very low (r=.122)(p<.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gender, marital status, or education level. However, emotional labor scor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age (F = 3.272, p = .021). Emotional labor was lower for individuals in their 50s compared to those in their 20s, 30s, and 40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labor were observed based on job position, workplace size, and working hours.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job position, years of service, and salary.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내용 및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시대 트레머리를 모티브로 한 현대 업스타일 디자인 개발
- 헤어디자이너의 급여수준과 자기유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주름 개선 기능성화장품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및 고객신뢰에 미치는 영향
- 헤어미용인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의 비교 : 브랜드헤어숍과 일반헤어숍의 중심으로
- 직장인의 뷰티관심도와 소비가치관이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 여성들의 외모지향과 뷰티관심도 연구
- 미용종사자의 직무적합성이 조직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를 활용한 뷰티 융합교과목 개발연구
- 숏폼 시청동기가 뷰티 샵의 서비스 편익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 어택 이후 화장품 용기 분리배출 현황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평균 차이 분석
- 미용 교육 과정의 색조 메이크업 일러스트 표현 연구 : 계절별 컬러를 중심으로
- 기능성 화장품 표시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광고 태도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군자 모티브 이미지를 적용한 아트마스크 작품연구 : 딥 레진 아트(Dip Resin Art)기법을 활용
- 워터 브리딩 테라피 마사지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헤어커트스타일에 따른 이미지스케일 연구 : 20~30대 미용종사자 중심으로
- 미용학과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외모지향성이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 화장인식도의 매개효과 검증
- 액티브시니어의 경제활동이 뷰티헬스케어행동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종사자의 작업환경, 직무요구, 프리젠티즘 및 이직의도 간 영향관계 분석
- 중국 고대 립 메이크업의 기호화 특징 및 그 문화상징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동덕여자대학교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대한미용회지
- 계 명문화대학교 대학원
- 가천대학교 대 학원
- 전국사회복지연구
- 대한미용학회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지
-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 한국미 용학회지
- 한국미용학회지
- 한국미용학회지
- Annual Review of Sociology
- 한국인체미 용예술학회지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 한국비전연구
- 대구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 관광연 구저널
- 제주대학교대학원
- Academy of Management Reuiew
- 호텔경영학 연구
- 인적자원관리연구
- J. Dent. Education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 책전문대학원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