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전력교육의 역사와 개념의 재정립
이용수 2
- 영문명
- The Educational History of Fighting Spirit and its Re-conceptualization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최영진(Youngjin Choi)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제31권 제3호(통권 제94호), 153~18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전력의 개념을 역사적 맥락에서 새롭게 정의하는 것이다. 기존 정신전력 개념 정의가 과도하게 기술적이라 본질적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고, 특히 교육내용과 맞지 않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군인정신 중심으로 개념이 정의되다 보니 정신전력교육의 3대 영역 가운데 2개 영역(국가관과 안보관)이 개념에 빠져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전력교육과 개념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살펴보고, 정신전력의 보다 명료한 개념 정의를 시도한다. 좋은 개념 정의는 본질적 내용을 중심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개념적 간명함과 합의 가능성이 높아야 한다. 기존 개념의 구성요소 부분을 삭제하고, 목표와 성격에 집중할 경우, 정신전력은 “부여된 임무를 책임지고 완수하려는 의지와 역량”으로 단출하게 정의될 수 있다. 기존 개념과 질적인 차이가 없지만, 본질에 충실한 명료한 개념 정의이기 때문에 사회적 합의 가능성도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define the concept of fighting spirit in a historical context in South Korea. There have been criticisms that the existing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fighting spirit is overly descriptive,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its essential content. In particular it is not fit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on fighting spirit, which have been constituted of 3 main areas; the view of Republic of Korea, hostility against North Korea (Security view), and the soldier spirit. As the concept is defined with a focus on the soldier spirit, two of the three core areas of fighting spirit education are missing from the concept.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fighting spirit education and the concept have developed, and then attempt to define the concept of fighting spirit more clearly. A good concept definition should be built around its essential content and should have a high level of conceptual clarity. If we give up the part describing component factors of the existing concept and focus on its goals and characteristics, fighting spirit can be clearly defined as “the fighting will and capability to complete the mission in peacetime as well as wartime.” Although there is no qualitative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concept, the definition would be more clear and close to its essence of fighting spirit, making it more acceptable.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정신전력 개념의 역사적 전개과정
Ⅲ. 정신전력 개념의 재정립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략연구 제31권 제3호(통권 제94호) 목차
- 한반도 지상군 군사력 균형 연구
- 미래전과 데이터 기반 지능형 통합체계 구축: 미 합동전영역지휘통제(JADC2)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드론작전사령부 창설의 타당성 평가: 군사적 필요성과 한국적 환경 적합성 중심으로
- 미·중 군사혁신 경쟁과 한국의 군사혁신에 대한 함의
- 북한의 공세적 핵전략과 ‘일반 핵강제’
- 정신전력교육의 역사와 개념의 재정립
- 2014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얻은 교훈과 미 육군의 주요 교리변화
- 문재인 정부의 국방정책과 군사전략 평가: 대북정책과 정치-군사 관계의 영향을 중심으로
- 윤석열 정부의 통일·대북정책 평가와 과제: 역대 정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북한 화생무기 검증간 UNSGM 적용방안에 대한 소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