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치경찰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유관기관 협업방안: 광주광역시 대상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7
- 영문명
- Collaboration plans among related organizations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Focusing on qualitative research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김정규(Jung Gyu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3券 第4號, 155~18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자치경찰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유관기관과의 협업방안을 질적연구 방법으로 탐색하는 것에 있다. 질적연구의 대상은 지방의회 의원, 자치경찰위원회 소속 직원, 시도경찰청 자치경찰사무 부서 경찰관, 경찰서 단위 자치사무담당자, 시민단체 구성원, 자치경찰위원회 실무협의회, 자치경찰위원회 정책자문단 등 108명이었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개별 및 집단으로 진행했다. 면담결과 일원형 자치경찰제의 당면과제는 적극적인 홍보, 교육, 갈등관리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의 상당수가 제도에 대한 이해도가 저조하고 자치경찰 사무수행에 관한 정보역량 등이 불충분했다. 제도 시행 초기에 발생하는 유관기관 간에 갈등적 상황들도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관기관 상호 간 협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초단위까지 지방정부를 연계하고 정보공유 및 시스템구축과 소통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일원형 자치경찰제에 내재된 운영조직이 미비성 등의 한계사항들로 인한 기관 간 협업의 곤란성과 이를 극복하고 향후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책도 발견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unitary autonomous police system operates in the fiel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he subjec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were 108 people including local council members, staff of the autonomous police committee, police officers of the autonomous police department of the provincial police agency, autonomous police officers at the police station level, members of civic groups, autonomous police committee working council, and autonomous police committee policy advisory group.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The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the immediate tasks of the unitary autonomous police system were active promotion and education. A significant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ha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system and thus did not have sufficient capacity to lead the work. Efforts were required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that occurr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system implementation. Next, in order to secure cooperation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the need to link local governments down to the basic level, share information, establish systems, and activate communication were categorize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from the interviews, the current policy weaknesses of the unitary autonomous police system as well as its potential for development were understood. The research results may be continuously review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ystem while the unified autonomous police system continues.
목차
Ⅰ. 서론
Ⅱ. 자치경찰제에 관한 일반적 논의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원경찰 채용제도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 방안: 전문가 대상 혼합연구 접근
- 개정 경비업법에 대한 검토 및 제언 - 경비지도사를 중심으로
- 자치경찰제도의 효과성 인식에 관한 연구
- 공익신고자 보호법과 공익신고자 보호
- 경찰관기동대원의 폭력 피해 경험이 경찰 활동 위축에 미치는 영향: 외부정당성의 매개효과
- 함정수사의 적법성 판단과 중대한 영향 기준 - 독일 형사법과 유럽인권재판소 판례를 중심으로
- 자치경찰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유관기관 협업방안: 광주광역시 대상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직무소진에 대한 연구: 경찰공무원 스트레스 척도(PSQ)를 중심으로
- 전통적 및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효율성 평가와 자원 배분 최적화: Network SBM-DEA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