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치경찰제도의 효과성 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Perception of Autonomous Police Systems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명도현(Do Hyun M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3券 第4號, 57~8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1년 7월 자치경찰시대가 본격화되었다. 그러나 현행 자치경찰제도는 운영 주체의 의견수렴을 포함한 준비과정이 미흡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으며, 일원적 제도로 인한 한계에 대한 비판 또한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경찰활동은 그 형식과 무관하게 본연의 목적과 기능은 달라지지 않으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효과적인 경찰활동의 수행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동안 전국 18개의 자치경찰위원회는 각각의 지역 특성과 주민의 요구에 부합하는 치안정책을 개발하고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 연구는 자치경찰제도 정착의 과도기적 상황에서 주민의 인식분석을 통해 자치경찰제도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경찰활동 만족도, 지역안전도 수준, 자치경찰제 우호도 모두 자치경찰제도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변수의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했을 때, 경찰활동 만족도가 자치경찰제도 효과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July 2021, the era of autonomous police began in earnest. However, the current autonomous police system has been criticized for its lack of preparation, including collecting opinions from the operating entities, and there are still criticisms about the limitations of the unitary system.
However, regardless of the form, the purpose and function of police activities remain the same, and they must be able to ensure effective police activities under any circumstances. In the meantime, 18 autonomous police committees nationwide have been working to develop policing policies and provide policing services that meet the needs of their respective localities and resident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residents' perceptions in the transitional situ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police activity satisfaction, local safety level, and favorability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ll have an impact o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when comparing the size of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it was found that police activity satisfaction has the highest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가설 및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원경찰 채용제도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 방안: 전문가 대상 혼합연구 접근
- 개정 경비업법에 대한 검토 및 제언 - 경비지도사를 중심으로
- 자치경찰제도의 효과성 인식에 관한 연구
- 공익신고자 보호법과 공익신고자 보호
- 경찰관기동대원의 폭력 피해 경험이 경찰 활동 위축에 미치는 영향: 외부정당성의 매개효과
- 함정수사의 적법성 판단과 중대한 영향 기준 - 독일 형사법과 유럽인권재판소 판례를 중심으로
- 자치경찰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유관기관 협업방안: 광주광역시 대상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직무소진에 대한 연구: 경찰공무원 스트레스 척도(PSQ)를 중심으로
- 전통적 및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효율성 평가와 자원 배분 최적화: Network SBM-DEA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