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심리적 계약위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이용수 28

영문명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Turnover Intention :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Regulating Resilience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정윤정(Yun Jeong Jeong) 이희옥(Hee Ok Lee) 정동섭(Dong Seop Chung)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31권 제4호, 229~25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따라 구성원 또한 조직에 대해 심리적인 불안감을 가지게 된다. 특히 고용에 대한 불안감이나 성과에 대한 압박 등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기대에 미치지 못한 대가로 인해 조직에 대해 불신이 높아져 이직이라는 행동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구성원이 조직으로 부터 심리적 계약위반을 인식하게 되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조직을 벗어나려는 이직의도가 높아지는지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한다. 또한 구성원 개인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로 이직 하려고 하는 의도를 상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심리적 계약위반과 이직의도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즉 조직으로 부터 기대한 대가를 받지 못했다고 인지한 구성원은 조직에 대한 불신과 실망을 받아 조직을 떠나려는 의도가 높아진다. 둘째, 심리적 계약위반을 인식한 구성원은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이는 이직의도를 높이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에 개인의 회복탄력성이 완화하는지 검증한 결과 개인의 회복탄력성이 높으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를 빨리 극복하고 이직의도를 완화 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구성원의 심리적 계약 위반 인지는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를 높일 뿐 아니라 조직을 떠나려는 이직의도를 높이므로 구성원이 기대하고 원하는 부분이 어떤 것인지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적절한 보상과 그에 맞는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개인의 회복탄력성이 이직의도를 완화시키는 측면에서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여 회복탄력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을 통해 구성원의 이직률을 낮출 수 있는 실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Depending on the uncertain business environment, members also have psychological anxiety due to uncertainty about the organization. In particular, job stress is caused by anxiety about employment or pressure on performance, and distrust of the organization increases due to a price that does not meet expectations, which is a behavior of turno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if a member recognizes a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from the organization, the stress on the job increases and the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increases. In addition, it was studied whether individual member's resilience could offset the intention to turnover due to stress on the job.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violation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and the intention to turnover had a positive (+) effect. In other words, members who recognize that they have not received the expected price from the organization are distrusted and disappointed in the organization, and their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increas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members who recognized th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ncreased their stress on their job and this increased their intention to turnover. Finally,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an individual's resilience is alleviated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f an individual's resilience is high, he or she quickly overcomes job stress and relieves job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the perception of a member's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ncreases not only job stress but also the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observe what the member expects and wants, and to prepare appropriate compens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In addition, in terms of easing individual resilience's intention to turnover, practical measures were suggested to increase individual self-esteem, strengthen resilience, and lower the member's turnover rate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가설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윤정(Yun Jeong Jeong),이희옥(Hee Ok Lee),정동섭(Dong Seop Chung). (2024).심리적 계약위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31 (4), 229-251

MLA

정윤정(Yun Jeong Jeong),이희옥(Hee Ok Lee),정동섭(Dong Seop Chung). "심리적 계약위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31.4(2024): 229-2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