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감정노동의 대상에 따른 차별적 효과
이용수 19
- 영문명
-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Nurses’s Job Burnout: The Discriminatory Effect of Emotional Labor Depending on the Subject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권민정(Min Jeong Kwon) 양동훈(Dong Hoon Yang)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31권 제4호, 161~18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체산업에서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확대되며 감정노동과 감정노동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Hochschild(1983)가 감정노동에 관한 이슈를 제시한 이후, 약 30년 동안 이루어진 연구논문이 1만 건에 달하며, 그 중 절반은 2006년 이후 출간되었을 정도로 감정노동은 연구자들에게 꾸준히 연구되는 주제이다. 그간 감정노동의 개념 및 차원, 감정노동이 노동자 및 조직에 미치는 영향, 감정노동의 선행요인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연구가 축적되며, 감정노동이 서비스직 종사자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산업과 직군에서 발생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감정노동에 대한 대다수의 선행연구는 주로 서비스직을 위주로, 고객과의 접점에서 발생하는 감정노동을 측정하고 있다. 즉 감정노동의 빈도와 강도, 대상, 목적이 다를 뿐 거의 모든 노동자가 조직 내에서 감정노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에 대한 감정노동과 의사 및 동료간호사에 대한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차별적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국내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25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환자에 대한 표면연기는 직무소진의 하위차원인 고갈에는 정(+)적 영향을, 내면연기는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의사 및 동료간호사에 대한 표면연기는 직무소진의 하위차원인 고갈에는 정(+)적 영향을, 내면연기는 고갈과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환자에 대한 표면연기가 고갈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사회적 지지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환자에 대한 내면연기가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사회적 지지에 의해 강화되었다. 넷째, 의사 및 동료간호사에 대한 내면연기가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에 미치는 부(-)적 영향 역시 사회적 지지에 의해 강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표면연기는 직무소진의 고갈 차원과 정(+)적, 내면연기는 직무소진의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과 부(-)적 관련성이 높다고 추론해 볼 수 있다. 또한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환자를 대할 때뿐만 아니라, 의사 및 동료간호사를 대하는 상황에서도 발생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from patients and from doctors or colleagues on job burnout in order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ith the expansion of the service industry across all fields of businesses, people’s interest in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workers has increased. A number of researchers believe that emotional labor is likely to occur in all jobs and professions in the modern society. However, most prior studies on emotional labor only deal with the emotional labor that takes place in the process of providing services to customers.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will measur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by sorting the subjects of hospital nurses into patients, doctors and colleagues to confirm if social support has power to modulat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Using quota sampling, data were derived for this analysis from a total of 225 nurses working in hospitals in Kore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process of providing emotional labor for patients, the surface ac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xhaustion, on a sub level of job burnout,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During the emotional labor for patients, the deep acting did not influence exhaustion but had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Second, the surface acting during emotional labor towards doctors and colleagues had a positive effect on exhaustion, on a sub level of job burnout, but did not influence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The deep acting during emotional labor towards doctors and colleagues had negative effects on both exhaustion, on a sub level of job burnout, and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Third, the effect of surface acting on exhaustion during emotional labor for patients,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impact on exhaustion, and did not influence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In the effects of deep acting on exhaustion during emotional labor for patients, social support did not influence exhaustion and had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Finally, the effect of surface acting on exhaustion during emotional labor towards doctors and colleagues, social support did not affect both exhaustion and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While exhaustion did not influence the effects of deep acting on exhaustion from emotional labor for patients, it still had a negative impact on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effects of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which are the sub level of emotional labor, on the exhaustion and psychological disengagement from work, which are the lower level of job burnout. The emotional labor of nurses can be seen in not only during the process of treating patients, but also during the process of dealing with doctors and colleagu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육성적 피드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동기와 잡 크래프팅의 다중 직렬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Managing Millennials with ethics: The effectiveness of ethical leadership and work meaningful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임파워링 리더십과 구성원의 피드백 추구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와 학습목표성향의 조절효과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조직 구성원의 직장만족도 유형 분류 및 유형별 특성 분석
- 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참가자의 현업적용도와 관련 변인, 직무몰입 및 직무성과와의 영향 관계
- 교대제 개편과 임금산정방식간의 관계 연구 - 자동차부품업과 전기전자업 사례
- 사회적 지원과 잡크래프팅, 그리고 정서적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 조직, 상사, 동료 지원인식을 중심으로
- 무형식학습 참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과 인재우대 인식을 중심으로
-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감정노동의 대상에 따른 차별적 효과
- 심리적 계약위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경력성공 연구동향 분석: 2000-2023년 발행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 인적자원관리연구 제31권 제4호 목차
참고문헌
- 한국산학기술학회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경제와사회
- 특수교육
- 호텔경 영학연구
- 관광연구저널
- 한국사회 복지실천연구학회
- 대한산업의학회지
- 고용노동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인사관 리연구
- 경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산업혁신연구
- 커뮤니케이션북스
- 한국노동 사회연구소
-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 회, 한국노동사회연구소
- 한국비즈니스학회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조직 과 인사관리연구
- 인사조직연구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조직과 인사관리연 구
- 대한스트레스학회
-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인적자원관리연구
- 생산성논 집
-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대한경영학회지
- 인적자원 관리연구
- 대한관광경영학회
- 한국항공경영학회지
-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산업관계연구
- 경영사연구
- 대한경영학회지
- 한국치위생학회지
-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한울아카데미
- 인적자원관리연구
- 군진간호연구
-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 대한경영학회지
- 영남대학교 대학원
-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 Human Resource Management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American Psychosomatic Society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 Routledge
- American psychologis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 Jossey-Bass/pfeiffer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 Organizational Psychology Review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 stress and health
- Personnel Psychology
- Journal of Social Issues
-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 Korean Acad Adult Nurs
-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 Journal of Management & Organization
-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