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형식학습 참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과 인재우대 인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23
- 영문명
- The Role of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on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Perceptions of Informal Learning Effectiveness and HR-Oriented Policy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이창수(Chang Soo Lee) 김현옥(Hyun Ok Kim)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31권 제4호, 209~22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에서 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한 효율적인 경영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업은 미래를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으면서, 반대로 경기침체의 상황에서 생존하기 위한 비용 절감도 필요한 상충적인 상황에 놓여있다. 그에 따라 미래를 위한 투자의 일환으로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현재 보유하고 있는 인적자원의 역량을 높여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기업 특유의 기술에 대한 구성원들의 교육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기업 특유의 기술에 대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형식교육과 더불어 무형식학습에 의한 교육이 중요하며, 이러한 경향에 따라 무형식학습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형식학습을 통해 기업 특유의 기술에 대한 역량이 높아진 구성원은 직무수행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자기효능감이 증가하여 직무에 대한 만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는 구성원의 인재우대 인식으로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구성원이 조직의 인재우대를 높게 인식하고 있다면, 제도의 수용성이 높아지고 이는 무형식학습의 효과성을 높여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형식학습 참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가 인재우대 인식에 따라 조절되는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무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둘째, 무형식학습 참여와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본다. 셋째, 무형식학습 참여와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관계에서 인재우대 인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무형식학습 참여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매개효과가 인재우대 인식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 2020년 근로자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자료분석 결과 첫째, 무형식학습 참여는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둘째, 무형식학습 참여는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무형식학습 참여와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관계는 인재우대 인식이 높을수록 정적인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무형식학습 참여가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을 매개하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인재우대 인식이 높을수록 더 강하게 나타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무형식학습의 실행과 효과에 대해 고민하는 실무자들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ole of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on job satisfaction and how this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perceptions of HR-oriented policy. To meet this objective,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secondly, this study evaluate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Third,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HR-oriented poli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is moderated by perceived HR-oriented poli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informal learning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informal learning effectiveness, and second, informal learning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perceived informal learning effectivenes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perceived informal learning effectiveness was stronger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HR-oriented policy. Finally, we demonstrate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which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participation on job satisfaction via perceived informal learning effectiveness was stronger when HR-oriented policy perception was higher.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concerned with the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육성적 피드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동기와 잡 크래프팅의 다중 직렬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Managing Millennials with ethics: The effectiveness of ethical leadership and work meaningful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임파워링 리더십과 구성원의 피드백 추구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와 학습목표성향의 조절효과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조직 구성원의 직장만족도 유형 분류 및 유형별 특성 분석
- 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참가자의 현업적용도와 관련 변인, 직무몰입 및 직무성과와의 영향 관계
- 교대제 개편과 임금산정방식간의 관계 연구 - 자동차부품업과 전기전자업 사례
- 사회적 지원과 잡크래프팅, 그리고 정서적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 조직, 상사, 동료 지원인식을 중심으로
- 무형식학습 참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과 인재우대 인식을 중심으로
-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감정노동의 대상에 따른 차별적 효과
- 심리적 계약위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경력성공 연구동향 분석: 2000-2023년 발행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 인적자원관리연구 제31권 제4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