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상담자의 효과적인 비대면 상담 기술과 제한점 탐색
이용수 6
- 영문명
- Exploring Effective Non-Face-to-Face Counseling Skills and Limitations for School Counselors in the Post- COVID- 19 Era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오인수(Insoo Oh) 손지향(Jiehyang Son) 최아린(Arin Choi)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0권 제6호, 87~11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학교상담자가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비대면 상담 기술을 탐색하여 학교상담자의 비대면 상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질적, 양적 혼합 연구 방법론인 순차적 탐구 혼합 연구 설계(sequential exploratory mixed methods design) 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비대면 상담 경험이 많은 학교상담자 13명을 학교급(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을 고려하여 3개의 집단으로 구성하고, 질적연구 방법 중 하나인 FGI(Focus Group Interview) 방법을 통해 지난 3년간 적용해왔던 비대면 상담 기술에 관한 활용도, 효과성, 제한점 등의 질적 정보를 수집하였다. FGI를 통해 수집된 비대면 학교상담 기술 자료는 미국학교상담자협회(ASCA)에서 제안한 학교상담자 역할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이어서 효과적인 비대면 상담 기술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추후 현장 보급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도출된 비대면 상담 기술에 대해 활용도와 효과성을 설문지 형태로 개발하였다. 이후 비대면 상담 경험이 많은 학교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직접적 교수(instruction)관련 효과적인 비대면 상담 기술 6가지와 제한점 5가지가 도출되었으며, 심리 평가(appraisal) 영역에서는 효과적인 비대면 상담 기술 5가지와 제한점 3가지, 심리 상담(counseling) 영역에서는 효과적인 비대면 상담 기술 6가지와 5가지 제한점이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학교상담자가 비대면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상담하는 기술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non-face-to-face counseling skills that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by school counselors in the post-COVID-19 era, aiming to enhance their counseling competence.
Methods: To achieve this objective, a sequential exploratory mixed methods design incorporat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was employed. A total of 13 school counselors with extensive experience in non-face-to-face counseling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educational stage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selected a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collect data on the usability,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counseling skills that have been employed over the past three years. Data collected from FGI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roles based on the National Model by the American School Counselor Association. Additionall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assess the us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se skills, ensuring objectivity of effective non-face-to-face counseling skills and distribution later in the field.
Results: Subsequently, a survey targeting proficient school counselors in non-face-to-face counseling was conduct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ix effective non-face-to-face counseling skills related to instructional aspects were found along with five limitations. Additionally, five effective counseling skills related to appraisal and three limitations were identified, as well as six effective counseling skills and five limitations pertaining to counseling-relevant skills.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effective counseling skills and limitations for school counselors in the post-COVID-19 era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theirapplication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