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도 기초학력지원센터 설치·운영 방식에 대한 이해관계자 인식
이용수 6
- 영문명
- Stakeholders’ Perceptions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Methods of Local Center for Basic Skills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신하영(Ha-young Shin) 박소영(So-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0권 제6호, 117~13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도 기초학력지원센터의 설치 및 운영방식과 관련된 쟁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기초학력지원센터의 민간위탁과 교육청 직영 간의 운영 방식 채택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방법 기초학력지원센터의 운영 방식에 대한 이해관계자 인식은 정책 전달체계의 구조, 민간 참여의 결정, 협력적 거버넌스를 분석 틀로 삼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기초학력지원센터의 운영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교육청 관계자, 현장 교사, 민간 전문기관 관계자 등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를 분석의 준거에 따라 제시하면 첫쨰, 정책 전달체계의 구조와 관해서 중앙정부와 지역 간의 효율적인 협력 구조가 기초학력 지원 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해 필요했다. 둘째, 민간 참여의 결정과 관련하여 외부 전문기관을 통한 민간위탁이 전문성과 유연성을 제공하지만, 정부 직영 방식은 정책의 일관성과 책임성을 보장하는 장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협력적 거버넌스와 관련하여 중앙정부, 지역교육청, 민간기관 간의 협력이 기초학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었다.
결론 이 연구는 기초학력지원센터의 운영 방식에 대한 실무자들의 실제 경험과 인식을 반영함으로써, 정책 결정 과정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초학력지원정책이 더욱 성과 있는 정책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전달체계를 정비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local center for basic skills support, focusing on key issues. It addresses the adoption of private outsourcing versus direct management by educational authorities.
Methods: Stakeholder perceptions of the operation of local center for basic skills support were analyzed using the frameworks of policy delivery structure, private sector involvement, and collaborative governa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ducation office officials, teachers, and private institution representatives directly involved in the centers' operations.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ffective cooper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as crucial for implementing the basic academic support policy. Second, outsourcing to private institutions offered flexibility and expertise, while direct government management ensured consistency and accountability. Third, collabor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education offices, and private institutions was vital for improving basic academic skills and increasing policy effectiveness.
Conclusion: This research offers significant insights into decision-making regarding the operational strategies of local center for basic skills support. By incorporating practition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it provides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delivery system to enhance basic academic support polic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