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 아포칼립스 영화 속 공간의 정치학
이용수 35
- 영문명
- The Politics of Space in Post-Apocalyptic Films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백해린(Hae-lin Baek)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61호, 137~15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포스트 아포칼립스는 멸망 이후 파괴된 사회 시스템의 붕괴 속에서 무법 천지가 된 인간 사회를 묘사함으로써, 인간의
본성과 욕망, 사회 시스템, 권력과 같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요소에 대해 고찰한다. 최근 한국 포스트아포칼립스 콘텐츠는
계급 간 불평등, 부패한 권력, 도덕적 딜레마 등 오랜시간 한국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정치적, 사회적 불안을 묘사함으로
써 대중의 공감을 얻고 있다. 본 연구는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 포스트아포칼립스 콘텐츠 속 공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콘크리트 유토피아>(2023)의 아파트는 생존의 공간인 동시에 계층적 권력 구조가 재생산되는 장소
로 기능하며, 이는 르페브르가 설명한 표상된 공간의 전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콘텐츠 속 공간은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는 도구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비판과 저항의 공간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콘텐츠는 공간을 통해
관객들에게 현대 사회의 불평등, 정부의 무능력, 자본주의의 모순 등을 직시하게 만들며, 공간이 권력과 계층을 강화하는
도구임을 암시한다. 이는 르페브르가 주장한 바와 같이, 공간이 권력의 산물이자 저항의 가능성을 내포한 장소로서 작용
함을 보여준다. 즉, 한국 포스트아포칼립스 콘텐츠 속 공간은 사회적 구조와 권력 관계를 시각적으로 재현하는 중요한
장치이다. 이 공간을 통해 한국 포스트아포칼립스 콘텐츠는 현대 사회의 불안과 갈등을 반영하며, 권력의 재생산과 계층
적 갈등을 시각화함으로써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고 비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Post-apocalypse describes a human society that has become lawless due to the collapse of the social system destroyed
after the destruction, and examines various elements of modern society such as human nature, desire, social system, and
power. Recently, Korean post-apocalyptic content has gained public sympathy by depicting political and social anxiety that
has long dominated Korean society, such as class inequality, corrupt power, and moral dilemmas. This study analyzed the
space in Korean post-apocalyptic content based on Henri Lefebvre's spatial theor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partment in functions as a space for survival and a place where hierarchical power structures are
reproduced, which ha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ed space described by Lefebvre. The space in the content is
not simply a tool that reflects reality, but can also function as a space for social criticism and resistance. Through space,
the content makes the audience face the inequality of modern society, the government's incompetence, and the contradictions
of capitalism, and implies that space is a tool that reinforces power and class. This shows that, as Lefebvre argued, space
functions as a product of power and a place that contains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In other words, the space in Korean
post-apocalyptic content is an important device that visually reproduces social structures and power relations. Through this
space, we can see that Korean post-apocalyptic content reflects the anxiety and conflict of modern society,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nd criticizing social discourse by visualizing the reproduction of power and hierarchical conflic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드라마 속 청년세대의 집단적 권태와 능력주의의 인과성 고찰: <나의 해방일지>를 중심으로
- K-POP아이돌 팝업스토어의 서비스스케이프 구현 전략
- 대학생의 정보 스토리텔링 역량 강화를 위한 소셜미디어 콘텐츠 창작 교과목 연구
- 한국 콘텐츠산업의 수도권 대 비수도권 격차문제와 정책적 대응방향
- 들뢰즈의 신체에 대한 사유의 관점으로 본 다큐멘터리 영화의 전복적 서사의 가능성:김 동령 ⋅박경태 감독의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분석을 중심으로
- 디지털 게임 <데이브 더 다이버>와 <거타지 설화>의 바다 영웅 서사 구조 비교
- 포스트 아포칼립스 영화 속 공간의 정치학
- 마스코트 호러 게임 장르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 지역캐릭터 활용사례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경북북부권 지역캐릭터 활용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스트 라이브즈>, 변화된 디아스포라 서사와 그 시간적 균열
- <클로즈 유어 아이즈>의 메타영화성
- 글로벌문화콘텐츠 제61호 목차
- 문화유산 관리 과정에서 갈등에 관한 연구: 홍콩특별행정구를 사례로
- 관객 경험을 통해 본 이머시브 시어터의 공간적 특성 연구: 상하이 ‘Sleep No More’를 중심으로
- 2020년대 TV정통사극의 변화 양상: <고려거란전쟁>을 중심으로
- 박물관의 텍스트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