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디어를 통한 경찰접촉경험이 시민의 경찰신뢰와 경찰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사용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중심으로

이용수 152

영문명
The Impact of Police Contact Experience through the Media on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and Police Effectiveness
발행기관
한국범죄심리학회
저자명
박주애(Ju Ae Park) 정보성(Bo Sung Jung)
간행물 정보
『한국범죄심리연구』제20권 제3호, 189~20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시민 539명을 대상으로, 미디어를 통한 경찰 접촉 경험이 경찰 신뢰와 경찰 효과성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디어 사용 유형을 분류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2개에서 5개의 잠재 집단을 가진 모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그중 4개의 잠재 프로파일 유형을 가진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 프로파일 집단별 연구 대상자의 경찰 신뢰 및 경찰 효과성 인식에 대 한 응답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고수준·언론기능 집중 집단'이 가장 높은 경찰 신뢰와 경찰 효과성을 보였으며, 중수준 집단, 중저 수준 집단을 거쳐 '저수준·스토리텔링 집중 집단'의 경찰 신뢰와 경찰 효과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저수준·스토 리텔링 집중 집단'에 속할수록 중저수준 집단에 비해 경찰 신뢰가 유의하게 낮은 반면, '고수준·언론기능 집중 집단'에 속할수록 경찰 신뢰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 결과는 경찰 효과성에도 동일하게 실증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시민들의 경찰 신뢰와 경찰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개인이 주로 사용하는 미디어 유형에 따라 미디어를 통해 본 경찰의 모습이 다르게 인식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media exposure to police encounters influences public trust in the police and perceptions of police effectiveness among 539 residents of Seoul. To achieve this, we categorized different types of media consumption and conducted a latent profile analysi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across models with two to five latent groups, with the four-profile model emerging as the best fit. Second, when analyzing participants' trust in the police and their perception of police effectiveness by latent profile group, the group with high engagement and a focus on media functionality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of trust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police, followed by the mid-level and low-to-mid-level groups. Conversely, the group with low engagement and a focus on storytelling exhibited the lowest levels of trust and perceived police effectiveness. Third, individuals in the low engagement/storytelling-focused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trust in the police compared to the low-to-mid-level group, while those in the high engagement/media functionality-focus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rust. This pattern was consistent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 of police effective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s' trust in the police and their assessment of police effectivenes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they predominantly consum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understanding how media consumption shapes public trust in law enforcement and its subsequent impact on perceptions of police effectivenes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주애(Ju Ae Park),정보성(Bo Sung Jung). (2024).미디어를 통한 경찰접촉경험이 시민의 경찰신뢰와 경찰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사용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20 (3), 189-204

MLA

박주애(Ju Ae Park),정보성(Bo Sung Jung). "미디어를 통한 경찰접촉경험이 시민의 경찰신뢰와 경찰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사용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20.3(2024): 189-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