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디어를 통한 경찰접촉경험이 시민의 경찰신뢰와 경찰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사용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중심으로
이용수 152
- 영문명
- The Impact of Police Contact Experience through the Media on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and Police Effectivenes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박주애(Ju Ae Park) 정보성(Bo Sung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0권 제3호, 189~20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시민 539명을 대상으로, 미디어를 통한 경찰 접촉 경험이 경찰 신뢰와 경찰 효과성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디어 사용 유형을 분류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2개에서 5개의 잠재 집단을 가진 모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그중 4개의 잠재 프로파일 유형을 가진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 프로파일 집단별 연구 대상자의 경찰 신뢰 및 경찰 효과성 인식에 대 한 응답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고수준·언론기능 집중 집단'이 가장 높은 경찰 신뢰와 경찰 효과성을 보였으며, 중수준 집단, 중저 수준 집단을 거쳐 '저수준·스토리텔링 집중 집단'의 경찰 신뢰와 경찰 효과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저수준·스토 리텔링 집중 집단'에 속할수록 중저수준 집단에 비해 경찰 신뢰가 유의하게 낮은 반면, '고수준·언론기능 집중 집단'에 속할수록 경찰 신뢰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 결과는 경찰 효과성에도 동일하게 실증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시민들의 경찰 신뢰와 경찰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개인이 주로 사용하는 미디어 유형에 따라 미디어를 통해 본 경찰의 모습이 다르게 인식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media exposure to police encounters influences public trust in the police and perceptions of police effectiveness among 539 residents of Seoul. To achieve this, we categorized different types of media consumption and conducted a latent profile analysi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across models with two to five latent groups, with the four-profile model emerging as the best fit. Second, when analyzing participants' trust in the police and their perception of police effectiveness by latent profile group, the group with high engagement and a focus on media functionality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of trust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police, followed by the mid-level and low-to-mid-level groups. Conversely, the group with low engagement and a focus on storytelling exhibited the lowest levels of trust and perceived police effectiveness. Third, individuals in the low engagement/storytelling-focused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trust in the police compared to the low-to-mid-level group, while those in the high engagement/media functionality-focus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rust. This pattern was consistent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 of police effective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s' trust in the police and their assessment of police effectivenes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they predominantly consum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understanding how media consumption shapes public trust in law enforcement and its subsequent impact on perceptions of police effectivenes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이 인식하는 혐오표현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일탈과 학교폭력 가해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Affecting Factors on Police Body-Worn Camera
- 스마트폰중독의 사이버불링피해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인의 조절효과와 남녀 차이
- 스토킹 범죄자의 심리프로파일 필요성에 대한 연구
- 청소년의 부주의한 인터넷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 빅카인즈를 활용한 딥페이크 범죄 경향 분석
- 캠퍼스 순찰대의 효과성 연구: 자원봉사활동 의미성의 조절효과
- 여성 사이코패스 범죄자의 심리학적 특성 분석 연구 - 부산 정유정의 과외교사 살인사건 중심
- 살인범죄자 양형 영향요인 연구 - 남녀 집단 차이 중심으로
- 미디어를 통한 경찰접촉경험이 시민의 경찰신뢰와 경찰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사용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중심으로
- 한국범죄심리연구 제20권 제3호 목차
- 강압적 통제 차원에서 스토킹 행위 유형화 연구
- 청소년의 일탈과 학교폭력 가해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