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빅카인즈를 활용한 딥페이크 범죄 경향 분석

이용수 180

영문명
Analysis of deepfake crime trends using BIGKinds
발행기관
한국범죄심리학회
저자명
김재경(Jae Kyeo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범죄심리연구』제20권 제3호, 123~14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언론 기사를 중심으로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범죄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그에 따른 함의를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 다. 빅카인즈 포털을 중심으로 2018년~2024년 7월까지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범죄 관련 기사를 검색한 결과 총 478건이 추 출되었으며, 연관어 분석을 통해 딥페이크 범죄의 연도별 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2018년~2019년에는 인공지능 (AI) 초창기와 달리 딥페이크 기술 사용자가 일반인들을 중심으로 증가하였다는 기사와 사용 연령대 또한 다양해졌다는 기사가 주를 이루었다. 특히 딥페이크 기술이 성범죄에 주로 활용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다음 2020년은 COVID-19 및 n번방 사건의 영향으로 딥페이크 범죄 기사량이 급증하면서 텔레그램을 통한 불법 음란물 유통과 디지털성범죄 관련 기사가 주를 이루었다. 마지막으로 2021년~2024년 최근까지의 딥페이크 범죄 경향을 살펴보면 디지털성범죄 사건이 10대 청소년들 사이에서 지속적 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기사를 비롯하여 디지털성범죄가 더욱 교묘한 방법으로 성행하고 있다는 기사, 딥페이크 성범죄가 하나의 놀이문화로 전락했다는 기사, 딥페이크 성범죄의 피해 확대, 딥페이크 기술이 보이스피싱 사기에도 활용되고 있다는 기사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딥페이크 범죄에 대한 법적·제도적·교육적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analyzing criminal trends using deepfake technology based on media reports. A total of 478 articles related to crimes using deepfake technology were extracted from the BIGKinds portal from July 2018 to July 2024. We then analyzed trends over the years using association word analysis. Analysis shows that in 2018-2019, unlike in the early days of AI, deepfake technology usage has increased among the general public. The article also noted that the age range of users has broadened. In particular, he pointed out that deepfake technology is often used for sexual offenses. The year 2020 saw a spike in deepfake crime stories due to COVID-19 and the Nth Room Case incident, with the majority of stories related to illegal pornography distribution and digital sex crimes on Telegram. When looking at recent trends in deepfake crimes from 2021 to 2024, the top stories included the continued rise of digital sex crimes among teens, the increasingly sophisticated ways in which digital sex crimes are being perpetrated, the rise of deepfake sex crimes as a form of entertainment, the escalating impact of deepfake sex crimes, and the use of deepfake technology in voice phishing sc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propose implications for future legal, institutional, and educational aspects of deep fake crim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경(Jae Kyeong Kim). (2024).빅카인즈를 활용한 딥페이크 범죄 경향 분석. 한국범죄심리연구, 20 (3), 123-140

MLA

김재경(Jae Kyeong Kim). "빅카인즈를 활용한 딥페이크 범죄 경향 분석." 한국범죄심리연구, 20.3(2024): 123-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