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스마트 학습 광고 비판적 담론 분석: 선행학습 재현의 장

이용수 49

영문명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Smart Learning Advertisements Targeted at Young Children: Advertising as a Platform for the Reproduction of Pre-curriculum Learning
발행기관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저자명
서현선(HyunSun Suh) 김지영(JiYoung Kim)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과정연구』제14권 제4호, 157~17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보편화와 함께 일상생활에서 쉽게 노출되고 있는 유아대상 스마트 학습 광고에 주목, 담론으로서 광고가 만들어 내는 학습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유아교육과의 상생을 위한 방향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유아 스마트 학습기 웹사이트의 문자 텍스트 중심으로 선행학습이 어떻게 의미화되었는지 분석하였고, 이러한 의미가 선행학습의 실천을 어떻게 기획하고 있는지 실천적 차원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선행학습 담론이 드러내는 관행으로서 이데올로기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 대상 스마트 학습 광고는 첫째, 텍스트 분석 결과, 비맥락적인 한글 학습을 가장 적합한 방법인 것처럼 의미화하면서 유아교육의 방향성과는 다른 길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상업 광고라는 장르 안에서 학부모의 후기와 유명인의 상품평을 통해 권위와 신뢰를 확보하여 유아기 선행학습에 합당성을 부여하고 경쟁력을 쟁취하는 방법으로 선행학습의 실천을 기획하고 있다. 셋째, 경쟁과 성과를 중시하는 신자유주의, 능력주의, 엘리트주의와 접합되어 교육이 아닌 학습의 언어를 유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교육산업이 유아교육과의 상생을 위하여 진정성있는 교육의 논리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공교육과 영향을 주고받으면서도 학술적 관심이 부족하였던 사교육 광고의 학습담론을 교육의 논리로 비판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Smart learning targeted at young children represents a fusion of traditional print-based study materials, previously delivered through home visits,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utilizing devices such as tablet PCs and smart pens. This study focuses on the advertisements for smart learning targeted at young children, which have become ubiquitous with the widespread use of smartphon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how pre-curriculum learning was signified based on the text of the website of smart learning devices for young children and explore the practical dimension of how this meaning plans the practice revealed by this pre-curriculum learning discourse.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xtual analysis reveals that smart learning advertisements targeted at young children portray decontextualized Korean language learning a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diverging from the intended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within the genre of commercial advertising, these smart learning advertisements gain authority and credibility through parental testimonials and celebrity endorsements, thereby legitimizing and promoting pre-curriculum learning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as a competitive advantage. Third, they spread the language of learning, not education, by linking with neoliberalism, meritocracy, and elitism that emphasize competition and performance. F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potential directions for fostering synergy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private education sect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is criticized for the pre-curriculum learning of shadow education advertisements, which have been influencing public education but lack academic interest, using the educative perspectiv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현선(HyunSun Suh),김지영(JiYoung Kim). (2024).유아 스마트 학습 광고 비판적 담론 분석: 선행학습 재현의 장.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4 (4), 157-178

MLA

서현선(HyunSun Suh),김지영(JiYoung Kim). "유아 스마트 학습 광고 비판적 담론 분석: 선행학습 재현의 장."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4.4(2024): 157-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