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새롭게 바라보는 2세 영아의 디지털 카메라 놀이: 발현적 경청의 관점을 통해
이용수 50
- 영문명
- A new look at the digital camera of a 2-year-old infant: Through the perspective of expressive listening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 저자명
- 이은화(EunHwa Lee) 정가윤(GaYoon Jung)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과정연구』제14권 제4호, 111~13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세 영아의 디지털 카메라 놀이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10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산새소리반 만 2세 영아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약 4개월 동안 원장이자 연구자로 디지털 카메라 놀이를 하는 2세 영아의 경험을 사진, 동영상, 놀이기록, 연구자의 저널, 면담자료 등으로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글쓰기 과정에서 연구자는 끊임없이 회절적 사유를 하며 2세 영아의 놀이 경험을 의미있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아 놀이에 대한 가르침, 의미, 사회성에 대한 연구자의 편견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자는 영아 놀이를 들여다보며 영아 놀이에 대한 편견을 넘어서 발현적 경청의 자세가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카메라 놀이를 향유하는 영아의 놀이를 통해 영아는 놀이의 주체이자 생성자라는 것을 밝혔다. 또한 영아와 함께하는 교사는 영아에 대해 지녔던 관점과 태도를 새롭게 하며 영아 놀이의 교육적 가치를 드러낼 수 있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a two-year-old infant's digital camera play experience. The study was conducted involving seven two-year-old infants in the class of 'Sansaesori' from October 2022 to January 2023. As a director and researcher, the experiences of a two-year-old infant engaging in digital camera play were collected through photographs, videos, journals, and interview data for approximately four months.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nd writing, the researcher constantly thought diffractively and tried to reveal the play experience of a two-year-old infant in a meaningful wa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had been a researcher's prejudice against the teaching, meaning, and sociality of infant play. Looking into infant play, the researcher recognized that the attitude of emergent listening which goes beyond prejudice against infant play was a significant part. By looking into the play of infants who enjoy digital camera play, this study revealed that infants are the subject and creator of play. It also suggested that teachers with infants should be able to reveal the educational value of infant play by renewing their perspectives and attitudes toward infa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보통합 기관의 원장 자격연수에 대한 현직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요구 분석: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중심으로
- 말하는 몸: 세상과 소통하는 선택적 함구증 해찬이의 경험 탐색
- 유아교육기관 전이 시간에 마주친 어린이의 삶
- 은유분석을 통해 본 그림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영유아교육과정연구 제14권 제4호 목차
-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해설서 내용체계 탐구: 5개 영역의 배움이해를 중심으로
-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과정평가 실행 지원방안 탐색: 함께 응답하며 나아가기
- 새롭게 바라보는 2세 영아의 디지털 카메라 놀이: 발현적 경청의 관점을 통해
- 유아 스마트 학습 광고 비판적 담론 분석: 선행학습 재현의 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I 기반 피드백 시스템이 초등학생의 통계적 탐구 질문 설정 향상에 미치는 영향 : AI 인식과 피드백 자기 효율성의 조절 효과
- 1900년대 후반~1920년대 초등 교원 양성의 변화 추이
- 삼각형의 합동 및 합동기호의 교육과정별 정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