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캠퍼스타운 유튜브 크리에이터 콘텐츠 제작 프로그램 설계 교육과 한국교회에 적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150

영문명
Study on the design education of the Campustown YouTube creator content production program and its application to the Korean church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이정관(Jeung Gwan Lee) 김희경(Hee Kyoung Kim)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79집, 197~21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방송·문화·영상·예술 분야의 전문교육을 지원하여 콘텐츠 제작과 창작자에 대한 학습기회를 제공하여 예비 창작자로서 기독교 콘텐츠 제작 및 인재 양성과 교회 교육에 활용과 기독교의 올바른 가치관을 미디어를 통해 알리고자 함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위의 목적을 가지고, 코로나 19 펜데믹과 한국교회의 상황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교회인덕대학교 캠퍼스타운 사업단이 실행한 방송·문화·영상·예술 분야의 전문교육을 지원하여 청소년들에게 콘텐츠 작품제작과 크리에이터에 대한 학습기회를 제공하여 예비 크리에이터 창업 및 인재 양성에 어떤 도움이 되었는지를 결과물을 제시할 것이다. 현시점에서 교회는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교회 목회와 교육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미디어 교육을 하여야 한다. 또한, 미디어 교육은 미래에 다쳐올 언택트 시대를 준비하고, 교회의 올바른 가치관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및 제언 : 한국교회는 MZ세대들에게 유튜브 제작과 업로드를 위한 교육을 통해서 유튜브 환경을 새롭게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현재 한국교회는 교회 교육의 본질적인 기능 회복이 필요하다. 다시금 성장하고 성숙한 교회로 전환은 미디어 시대를 맞이하여 미디어를 통한 특히, 유튜브를 통한 새로운 신앙교육의 필요성을 갖는다. 즉, 한국교회는 미디어 발달과 함께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용해야 한다. 한국교회가 기독교 교육에 대한 의지를 갖고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과 미디어 개발과 제작을 통해서 기독교 교육뿐만 아니라 전도와 선교 등 기독교를 알리는 다양한 정보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강화해야 한다.

영문 초록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specialized education in the fields of Christian broadcasting, culture, video, and art to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for content production and creators, and to inform prospective creators of Christian content production and talent cultivation, church education, and the correct values ??of Christianity through media. Research content and method: With this purpose, we will first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Korean church. Then, we will present the results of supporting specialized education in the fields of broadcasting, culture, video, and art implemented by the Campustown Business Group of Church Induk University to provide youth with learning opportunities for content production and creators, and to see how it helped in the creation of prospective creators and the cultivation of talent. Next, at this point, churches should actively accept media, educate and actively utilize it in church ministry, and provide media education. Finally, media education will prepare for the untact era that will come in the future, and convey the correct values ??of the church. Conclusion and Suggestion: The Korean church needs to reconstruct the YouTube environment by educating the MZ generation on YouTube production and upload. The reason is that the Korean church currently needs to restore the essential function of church education. Once again, transitioning to a growing and mature church requires new religiou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펜데믹과 한국교회
Ⅲ. 캠퍼스타운 유튜브 크리에이터 콘텐츠 제작 프로그램 설계
Ⅳ. 유튜브(YouTube)의 발달과 대중성
Ⅴ. 유튜브 활용과 교회교육의 새로운 방향성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관(Jeung Gwan Lee),김희경(Hee Kyoung Kim). (2024).캠퍼스타운 유튜브 크리에이터 콘텐츠 제작 프로그램 설계 교육과 한국교회에 적용에 관한 연구. 기독교교육 논총, (), 197-217

MLA

이정관(Jeung Gwan Lee),김희경(Hee Kyoung Kim). "캠퍼스타운 유튜브 크리에이터 콘텐츠 제작 프로그램 설계 교육과 한국교회에 적용에 관한 연구." 기독교교육 논총, (2024): 197-2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