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회 교사교육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이용수 27
- 영문명
- A Study on Paradigm of Teacher Education in the Church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박향숙(Hyang-Sook Park)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79집, 77~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 교사교육의 대안으로 질적 연구 패러다임의 연구방법 중 하나인 실천탐구에 기반한 교사교육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교회 교사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교회교육의 목적이자 내용인 신앙의 성격과 질적 연구 패러다임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실천 탐구를 통해 대안적 교사교육을 탐색하는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교회 교사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변화하는 교육환경의 요구를 반영한 교수 역량 강화 교육, 소명과 리더십 교육, 대안적 교육모델 연구 제안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교회교육의 목적이자 내용인 신앙의 전인적 실천적 지식을 가르치기 위한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 교사교육은 질적 연구 패러다임을 지향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실천 탐구(practice inquiry)는 신앙교육의 행위를 탐구하고 실행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대안적 교사교육 방법이 될 수 있다. 넷째, 실천탐구는 학습자의 관점에서 학습자의 신앙을 이해하고, 학습자의 신앙의 변화와 성장을 돕기 위한 교사의 교육행위를 탐구하는 것을 포함하며 실천 탐구 공동체를 통해서 가능하다.
결론 및 제언 : 교회 교사의 전문성은 교사의 신앙교육 실천을 탐구하는 것을 통해 가능하다. 실제 교회교육 현장에서 실천탐구에 기반한 교사교육의 실행 사례를 제안하는 후속 연구가 시도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church teacher education based on practice inquiry,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 This study involved an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improvement strategies for church teacher education, verific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in relation to the nature and content of faith, which is the objective of church education, and an exploration of alternative teacher education through practice inquiry,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on improvement strategies for church teacher education categorized the studies into those proposing the enhancement of teaching competencies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vocational and leadership training, and alternative educational model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 education should aim for a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in order to cultivate the expertise necessary for teaching the holistic and practical knowledge of faith, which is the objective and content of church education. Third, practice inquiry can serve as an alternative teacher education method that encompasses the exploration, execution, and reflection on the acts of faith education. Fourth, practice inquiry includes investigating the educational actions of teachers aimed at understanding learners' faith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and assisting in the transformation and growth of their faith, which is made possible through a practice inquiry community.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The professionalism of church teachers can be realized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ir practices in faith education. It is anticipated that subsequent research will attempt to propose practical cases of teacher education based on practice inquiry in actual church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교회 교사교육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Ⅲ. 교회 교육 실천 탐구를 통한 교사교육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과제 수행에서 ChatGPT 활용 경험과 효과적인 학습 활동에 관한 수업 사례 연구
- 대학생의 학업지연 행동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릿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 유대교 하브루타 교육 방법의 기독교 교육 적용 방안
- 교회 교사교육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최신 경향 연구 분석
- 소비사회를 사는 그리스도인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제언
- 캠퍼스타운 유튜브 크리에이터 콘텐츠 제작 프로그램 설계 교육과 한국교회에 적용에 관한 연구
- 포스트휴먼 실천신학으로서 기독교교육학의 과제
- <나, 다니엘 블레이크>를 통해 본 공동체 상실과 그 회복을 위한 교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
- 프로젝트 기반 생성형 AI 활용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 청소년 수련회를 중심으로
- 아우구스티누스와 루터에게 나타난 은혜와 의지를 통해 본 기독교 성품교육 방향
- 문익환 통일의 집 사례를 통해 본 박물관 기반 평화·통일교육의 방향 탐구
- 한국 대중가요(K-Pop) 안에서의 ‘광야’(KWANGYA) 이미지: 성서적 광야신학과의 상징적 공통점 연구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신체활동, 수면의 질, 우울의 종단적 관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