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휴먼 실천신학으로서 기독교교육학의 과제
이용수 70
- 영문명
- The Tasks for Christian Education as a Posthuman Practical Theology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장신근(Shin-Geun Jang)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79집, 7~3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그리고 이에 대한 비판적 담론에 기초하여 신학과의 대화를 시도하고, 포스트휴먼 실천신학으로서 기독교교육학이 수행해야 할 과제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문헌 중심 연구로 이루어지며 학제적 대화를 지향한다. 먼저, 융합 학제적 관점에서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담론들을 고찰하며, 신학적 관점에서 기술과 생태에 초점을 맞추어서 횡단적 대화를 시도한다. 제언에서는 실천신학의 방법론을 원용하여 기독교교육학과의 대화를 시도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포스트휴먼 실천신학으로서 기독교교육학이 수행해야 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첫째, 포스트휴먼 상황에 대한 기술-경험적 연구와 해석작업, 둘째, 포스트휴먼 텔로스에 대한 성서적·신학적 규범 제시, 셋째, 함께 얽힘과 되어감을 통한 상호적 주체성과 신앙형성, 넷째, Theopoiesis에 기초한 이론-실천 관계 정립, 다섯째, 공생 공동체로서의 교회 형성, 여섯째, 공동선으로서의 하나님 나라의 Zoe를 지향하는 공적 파이데이아의 재구성 등이다.
영문 초록
Purpose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lore the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as a posthuman practical theology, with a focus on the discussions surrounding transhumanism, posthumanism, and critical posthumanism.
Research Content and Method: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essay performs a literature-based, interdisciplinary conversation that focuses on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discourses. It also examines these posthuman theories from a transversal 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posthumasnism and theology with a focus on technology and ecology. In the conclusion, the essay employs roughly methodology of practical theology to propose tasks for Christian educatio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In conclusion, the tasks for Christian education as a posthuman practical theology include: first, research and interpretation of posthuman contexts with a descriptive-empirical approach; second, biblical and theological norms for posthuman telos; third, inter-subjectivity and faith formation through entanglement and becoming; fourth, establishing a theory-practice relationship based on Theopoiesis; fifth, forming the church as a symbiotic community; and sixth, reconfiguring public paideia toward the Zoe of the Kingdom of God as the common good.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트랜스휴머니즘과·포스트휴머니즘과 비판적 응답
Ⅲ. 비판적 포스트휴먼 사유의 토대: 라투르, 바라드, 해러웨이, 브라이도티
Ⅳ. 포스트휴먼 담론과 신학의 대화
Ⅴ. 포스트휴먼 실천신학으로서 기독교교육학의 과제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과제 수행에서 ChatGPT 활용 경험과 효과적인 학습 활동에 관한 수업 사례 연구
- 대학생의 학업지연 행동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릿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 유대교 하브루타 교육 방법의 기독교 교육 적용 방안
- 교회 교사교육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최신 경향 연구 분석
- 소비사회를 사는 그리스도인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제언
- 캠퍼스타운 유튜브 크리에이터 콘텐츠 제작 프로그램 설계 교육과 한국교회에 적용에 관한 연구
- 포스트휴먼 실천신학으로서 기독교교육학의 과제
- <나, 다니엘 블레이크>를 통해 본 공동체 상실과 그 회복을 위한 교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
- 프로젝트 기반 생성형 AI 활용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 청소년 수련회를 중심으로
- 아우구스티누스와 루터에게 나타난 은혜와 의지를 통해 본 기독교 성품교육 방향
- 문익환 통일의 집 사례를 통해 본 박물관 기반 평화·통일교육의 방향 탐구
- 한국 대중가요(K-Pop) 안에서의 ‘광야’(KWANGYA) 이미지: 성서적 광야신학과의 상징적 공통점 연구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신체활동, 수면의 질, 우울의 종단적 관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