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나, 다니엘 블레이크>를 통해 본 공동체 상실과 그 회복을 위한 교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
이용수 74
- 영문명
- A Study on the Loss of Commun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its Restoration as Seen through 'I, Daniel Blake'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희(Junghee Kim) 황혜진(Hyejin Hwang)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79집, 57~7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현대 사회의 특징적 현상인 공동체 상실의 문제를 재현한 영화를 분석하고 그 회복을 위한 교회의 역할을 모색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한국을 비롯해 세계는 현재 주체의 타자화, 공동체 상실이라는 위기 속에 있다. 복지 제도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이지만 여러 가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본고는 <나, 다니엘 블레이크> 분석을 통해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해 발생한 구체적 현실을 탐구한다. 이 영화는 상호부조와 연대가 공동체 회복의 가능성 보여줌과 동시에 그러한 시도가 갖는 한계를 지적한다. 이에 따라 복지 제도의 한계를 궁극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 초대교회의 공동체성이 갖는 의미를 성찰하고 실천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결론 및 제언 : 주체의 타자화와 공동체 상실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교회가 그 다하기 위해서는 초대교회의 공동체성을 재확인하고 실천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of Research: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film that portrays the problem of community loss, a characteristic phenomenon of contemporary society, and to explore the role of the church in its restoration.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Both Korea and the world are currently facing a crisis of subject alienation and community loss. While welfare systems are policies designed to overcome these situations, they reveal various limitations. This paper explores the concrete realities caused by such problem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vie “I, Daniel Blake.” The film illustrates the potential for community recovery through mutual aid and solidarity, while also highlighting the limitations of such attempts. Consequently, it raises the necessity of reflecting on and practicing the community spirit of the early church to ultimatel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welfare systems.
Results/Conclusions: In modern society, where subject alienation and community loss are accelerating, it is essential for the church to reaffirm and practice the community spirit of the early church to address these issues effectivel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문제 제기와 이론적 배경
Ⅲ. <나, 다니엘 블레이크> 분석
Ⅳ. 공동체 회복을 위한 교회의 역할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과제 수행에서 ChatGPT 활용 경험과 효과적인 학습 활동에 관한 수업 사례 연구
- 대학생의 학업지연 행동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릿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 유대교 하브루타 교육 방법의 기독교 교육 적용 방안
- 교회 교사교육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최신 경향 연구 분석
- 소비사회를 사는 그리스도인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제언
- 캠퍼스타운 유튜브 크리에이터 콘텐츠 제작 프로그램 설계 교육과 한국교회에 적용에 관한 연구
- 포스트휴먼 실천신학으로서 기독교교육학의 과제
- <나, 다니엘 블레이크>를 통해 본 공동체 상실과 그 회복을 위한 교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
- 프로젝트 기반 생성형 AI 활용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 청소년 수련회를 중심으로
- 아우구스티누스와 루터에게 나타난 은혜와 의지를 통해 본 기독교 성품교육 방향
- 문익환 통일의 집 사례를 통해 본 박물관 기반 평화·통일교육의 방향 탐구
- 한국 대중가요(K-Pop) 안에서의 ‘광야’(KWANGYA) 이미지: 성서적 광야신학과의 상징적 공통점 연구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신체활동, 수면의 질, 우울의 종단적 관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