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최신 경향 연구 분석
이용수 204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the Educational U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ing on Korean Journal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아(Seongah Lee)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79집, 121~1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최신 연구 경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23년 5월부터 2024년 5월까지의 기간 동안 국내에서 발표된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107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 분야, 연구 방법, 연구 대상을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생성형 AI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지원, 교과 교육, 언어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리터러시와 교육 지원 분야에서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방법론적으로는 생성형 AI를 교육에 적용한 실증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요한 연구 대상이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논의한다. 특히, 교육적 맥락에서의 프롬프트 생성 전략의 중요성과 함께, 생성형 AI의 윤리적 문제와 정보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및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함께, 다양한 교육 단계와 교과목에 적합한 AI 활용 방안,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 재정립, 특수 교육과 영재 교육 등 특정 학습자 집단을 위한 맞춤형 AI 활용 연구의 필요성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latest research trends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generative AI. The analysis focused on 107 domestic studies on the educational use of generative AI published between May 2023 and May 2024, examining research fields, methodologies, and subjects. The results show that generative AI has been actively studi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al support, subject edu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literacy and educational support. Methodologically,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empirical, applying generative AI in educational contexts, with university students being the primary research subjec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discusses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educational use of generative AI. In particular,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ompt generation strategies within educational contexts, as well as the need for guideline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address ethical issues and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generated by AI. Additionally,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AI applications tailored to various educational stages and subjects, the redefinition of the roles of educators and learners, and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AI applications for specific learner groups, such as special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과제 수행에서 ChatGPT 활용 경험과 효과적인 학습 활동에 관한 수업 사례 연구
- 대학생의 학업지연 행동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릿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 유대교 하브루타 교육 방법의 기독교 교육 적용 방안
- 교회 교사교육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최신 경향 연구 분석
- 소비사회를 사는 그리스도인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제언
- 캠퍼스타운 유튜브 크리에이터 콘텐츠 제작 프로그램 설계 교육과 한국교회에 적용에 관한 연구
- 포스트휴먼 실천신학으로서 기독교교육학의 과제
- <나, 다니엘 블레이크>를 통해 본 공동체 상실과 그 회복을 위한 교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
- 프로젝트 기반 생성형 AI 활용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 청소년 수련회를 중심으로
- 아우구스티누스와 루터에게 나타난 은혜와 의지를 통해 본 기독교 성품교육 방향
- 문익환 통일의 집 사례를 통해 본 박물관 기반 평화·통일교육의 방향 탐구
- 한국 대중가요(K-Pop) 안에서의 ‘광야’(KWANGYA) 이미지: 성서적 광야신학과의 상징적 공통점 연구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신체활동, 수면의 질, 우울의 종단적 관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