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 적응 양상

이용수 6

영문명
A study on the acculturation of Vietnamese students in Korea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이영준(Yookyoung Lee) 이유경(Youngjun Lee)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1호, 163~18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 적응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 적응 양상과 문화 적응 전략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한 대학에 재학 중인 베트남 유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문화 적응 양상과 문화 적응 전략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김현진(2018)의 문화 적응 척도와 Barry(2001)의 동아시아 유학생의 문화 적응 척도(EAAM: The East Asian Acculturation Measure)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검사 결과와 각 변수의 중요성, 상관관계 등을 고려하여 분석에 필요한 항목을 선별하였다. 이후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문화 적응 요인 및 문화 적응 전략에 해당하는 잠재변수들을 추출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생성된 요인점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잠재변수들 사이의 회귀관계를 통해 그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주변화, 통합, 분리, 동화 전략에 미치는 요인들과 그 영향력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함의와 논의 사항을 제시하였다. 첫째, 베트남 유학생들의 문화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적 요인과 관련이 있었다. 둘째, 문화 적응 전략 중 주변화 전략이 눈에 띄게 나타났다. 주변화 전략은 한국문화와 모국 문화 모두에서 고립되는 것으로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셋째, 분리 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학교 문화 적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국에서 온 유학생들과의 교류를 하는 것만으로도 대학 생활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고 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culturation of Vietnamese students in Korea. To this end, the acculturation patterns and acculturation strategies of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universities in Korea were analyze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7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acculturation patterns and acculturation strategies. Kim’s (2018) acculturation scale and Barry’s (2001) EAAM were used as research tools. In this study, items necessary for analysis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reliability test results and the importance and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Thereafter, factor analysis was used to extract latent variables corresponding to acculturation factors and acculturation strategies. The factor score generated through factor analysis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its influence was identified through the regression relationship between latent variables. Accordingly, factors and their influence on marginalization, integration, separation, and assimilation strategie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irst, the factors that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acculturation of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were related to personal factors. Second, among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marginalization strategies were noticeabl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that positively influenced the separation strategy was the adaptation to school cultu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대상 및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준(Yookyoung Lee),이유경(Youngjun Lee). (2022).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 적응 양상. 한국언어문화학, 19 (1), 163-187

MLA

이영준(Yookyoung Lee),이유경(Youngjun Lee).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 적응 양상." 한국언어문화학, 19.1(2022): 163-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